“돈 없다더니”…아르헨 대통령, 본인월급은 48% ‘셀프 인상’

2024. 3. 11. 0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돈이 없다면서 정부 예산 긴축 정책을 펼치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자신의 월급 및 행정부 고위 공무원 월급은 48% 인상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1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일간지 라나시온, 파히나12, 암비토 등에 따르면 밀레이 대통령은 본인이 지난달 서명한 행정부 고위 공무원 월급 대통령령에 의해 2월 월급 602만 페소(923만원)를 수령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논란 일자 전 정권 탓하면서 무효화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로이터]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돈이 없다면서 정부 예산 긴축 정책을 펼치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자신의 월급 및 행정부 고위 공무원 월급은 48% 인상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1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일간지 라나시온, 파히나12, 암비토 등에 따르면 밀레이 대통령은 본인이 지난달 서명한 행정부 고위 공무원 월급 대통령령에 의해 2월 월급 602만 페소(923만원)를 수령했다.

1월 월급 406만 페소(세금포함 624만원)에서 48%나 인상된 액수였다.

이번 ‘셀프 급여 인상’은 이번 주 국회의원 월급 30% 인상 소식에 국민들 불만이 고조된 가운데 이뤄졌다. 국회의원 월급 인상에 대해 밀레이 대통령이 크게 화내면서 “국민이 고통을 받고 있는데 적절치 않다”며 무효화를 지시한 시점에 불거졌다.

밀레이의 발언에 빅토리아 톨로사 파스 전 사회개발 장관이자 현 하원의원이 개인의 SNS에서 "우리는 국회의원의 월급 인상 무효화 법안과 동시에 행정부 고위급 인사 월급 인상 무효화 법안도 곧 제출할 것이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대통령은 지금 절약을 내세우면서 우리에게 거짓말하고 있다"고 공격하면서 대통령이 2월 29일 서명한 대통령령에 의해 본인과 각료들 월급을 48%나 올렸다고 밝혔다.

이에 밀레이 대통령은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2007-2015 대통령, 2019-2023 부통령 역임) 전 대통령 집권기인 2010년 서명한 대통령령에 의해 자동으로 인상되는 것으로, 자신은 몰랐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장 해당 대통령령을 폐지하겠다면서 모든 잘못을 크리스티나 전 대통령의 탓으로 돌렸다.

그러나 야당 의원들은 온라인에 밀레이 대통령이 1월과 2월에 서명한 대통령령을 공개하며 그가 거짓말을 했다고 반박했다. 그의 서명 없이는 행정부 고위급 관료 월급은 인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관보에 게재된 대통령령에 그의 서명과 니콜라스 포세 수석장관과 산드라 페토벨로 인전자원부 장관 서명이 있었다.

특히 이 관보는 갑자기 정부 온라인 시스템에서 열람할 수 없게 되면서 정부가 고의로 숨긴 게 아니냐는 의심까지 일었다.

크리스티나 전 대통령은 "밀레이 대통령은 본인이 서명하는 대통령령은 읽어보지 않느냐"라면서 "대통령이 서명했고 월급을 수령했고 그걸 사람들이 알아버렸다는 걸 인정하라"고 말했다고 암비토가 보도했다.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도 "지난 2020년 팬데믹 상황에서 내가 대통령령 837/2020으로 고위급 관료의 월급은 공무원 월급 자동 인상에서 제외했다"고 밝히면서 논란에 합세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대통령실은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및 행정부 고위 관료 월급 인상분은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이 카스타(기득권, 기존 정치인)를 위해 서명한 대통령령을 폐지하면서 무효화 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현 정부를 지지하며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미겔 앙헬 피체토 야당 하원의원까지도 "밀레이 대통령이 자신이 서명한 것이 뭔지 모르면 문제가 있다"고 이례적으로 강하게 비난했다.

아르헨티나는 극우 자유경제 신봉자인 밀레이 대통령 취임 후 전 정권이 인위적으로 시행하던 가격 억제 정책을 폐기하고 정부 재정 균형화를 위한 강한 긴축 경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격이 정상화되고 있는 과정에서 물가는 폭등하고 있으며 취임 후 3개월간 누적 물가상승률은 65% 수준까지 치솟았고 빈곤율은 57%로 급등했다.

고공행진 하는 물가에 월급 인상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소비가 30%가량 급락하자 국제통화기금(IMF)까지 나서서 은퇴자들과 사회 취약층을 배려해야 한다고 밀레이 정부에게 거듭 충고했다고 현지 일간 라나시온이 전했다.

why37@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