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범 “단 한번도 예외없어, 이러면 금융위기 터졌다”

윤진호 기자 2024. 3. 11. 0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테크 명강]

11일 오전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 ‘재테크 명강-고승범 전 금융위원장 1부’가 공개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제8대 금융위원장을 지낸 고 전 위원장은 재테크 명강에서 ‘금융의 역사와 트렌드’에 대해 2차례에 걸쳐 설명한다.

그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은행을 비롯한 전세계 중앙은행이 경기 불안 해소를 위해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던 2021년 7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에서 금통위원 중 유일하게 ‘금리 인상’ 의견을 낸 ‘매파(통화 긴축·금리 인상 지지)’ 성향 인사다.

당시 고 전 위원장은 ‘금융 안정’을 명분으로 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했고, 이후 금융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겨 과감한 대출규제 시행으로 코로나 팬데믹 후 과도하게 불어나던 가계부채를 진정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승범 전 금융위원장이 재테크명강에서 강연하고 있다./조선일보 머니 캡쳐

고 전 위원장은 “금융의 발전이 오히려 금융 안정을 해친 경우가 여러 차례 있었다”며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대표적”이라고 했다. 파생 상품 발전이 오히려 주택시장에서의 금융 위기를 확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그는 역사적으로 여러 금융위기를 되짚어 보면 공통적인 징조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고 전 위원장은 “똑같은 금융위기가 반복해서 발생하지는 않는다”며 “다만 비슷한 리듬이 있는데, 그 리듬은 과도한 부채”라고 강조했다. 그는 “모든 위기는 과도한 부채 문제와 연결이 되면서 반복됐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현재 각국 중앙은행과 경제 부처가 여러 정책 결정을 내릴 때 고려하고 있는 역사적 배경과 이론은 무엇인지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은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에서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재테크 명강’을 영상으로 보시려면 다음 링크를 복사해서 접속해 보세요. https://youtu.be/yvbcnQPvLGI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