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 팔아 조총 산 일본영주들, 그 총구는 조선을 겨냥했다

김영호 <지구얼굴 바꾼 인종주의> 저자 2024. 3. 11. 05: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조명하는 일본군 위안부 역사] ①

일본은 태평양 전쟁 당시 동아시아의 식민지, 점령지에서 어린 소녀들을 강제로 연행해 일본군의 성노예로 부렸다. 이른바 종군위안부다. 그것은 무수한 증언과 자료를 통해 입증되고도 남음이 있다. 그 까닭에 일본은 1993년 관방성 장관 고노 요헤이(河野洋平-하야양평)의 담화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사과했었다. 이른바 고노담화다.

그런데 21세기 들어서는 일본의 태도가 돌변했다. 종군위안부의 강제연행을 부인하더니 이제는 종군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다. 2023년부터는 교과서에서도 '종군위안부'를 삭제하고 '위안부'로 기술하고 있다. 그것은 자발적 매춘행위라는 의미를 함축하는 까닭에 역사왜곡을 넘어선 역사날조다.

그 문제의 심각성은 일본이 자라는 세대에게 학교교육을 통해 한국이 역사를 왜곡해서 일본, 일본인을 폄하한다는 허위인식을 주입시킨다는 사실이다. 그 같은 제도교육은 한국, 한국인에 대한 적대적 감정을 필연적으로 조장한다. 그것은 양국의 위정자들이 말하는 미래지향적 관계를 역행하는 처사다.

바람직한 관계정립은 역사적 진실을 토대로 하는 반성과 사과 위에서 이뤄진다. 그 점에서 언론인 김영호(<지구얼굴 바꾼 인종주의> 저자)가 아래와 같은 연재물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⑴ 포르투갈에 소녀들 팔아 조총 산 일본영주들
⑵ 국가가 관리한 종군위안부 원조 ‘가라유키상’
⑶ 외화벌이 매춘사업, 국치로 여겨 숨기는 일본
⑷ 종군 위안부의 역사 지으려는 일본의 안간힘

포르투갈인 3명이 탔던 중국 난파선이 1543년 일본해안에 표착했다. 그들이 조총을 가지고 있었던 까닭에 포르투갈이 일본과 교역의 문을 의외로 쉽게 열 수 있었다. 그 3자루의 조총이 일본에도 서유럽이 주도한 대항해 시대의 바람을 몰고 간 셈이었다. 그 우연한 사건이 계기가 되어 포르투갈은 100년 가까이 일본의 대외거래를 독점하다시피 했다.

일본은 명나라가 조공무역을 단절했지만 1557년 마카오에 무역거점을 확보한 포르투갈을 통해 조총은 물론이고 중국물자도 수월하게 살 수 있었다. 신무기인 조총을 보는 순간 일본 다이묘(大名-대명)들이 폭음과 함께 발사된 탄환이 목표물을 타격하는 위력에 감탄했었다. 다이묘는 10~19세기 일본에서 지방영지를 소유했던 봉건영주를 말한다.

다이묘들이 경쟁적으로 포르투갈한테서 조총을 사들여 무장하는 한편 자체 제작에도 나섰다. 포르투갈 조총이 전래된 즈음 일본은 센코쿠(戰國-전국, 1467~1590년)시대의 절정을 맞아 영주들이 패권장악을 노려 서로 죽이고 땅을 뺏느라 피비린내 나는 권력투쟁이 한창이었다. 당시 조총은 개발초기 단계라 불발, 오발, 폭발이 잦고 다루기도 힘들었다.

무엇보다도 생사가 갈리는 결정적 순간에 장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길었다. 칼, 활, 창 등 재래무기와 비교해도 성능과 기능이 우수하다고 판단하기 어려웠다. 총수가 조총을 장전하여 발사하는 사이에 궁수는 화살을 15발이나 쏠 수 있다는 점이 큰 취약점이었다. 조총은 유효사정거리가 80~100m에 불과했고 그 거리에서도 총알이 갑옷에 맞으면 튕기어 나가 살상률이 활보다 훨씬 낮았다.

그 시점에 일본역사를 바꾼 일대회전이 벌어졌다. 1575년 6월 29일 미카와(三河-삼하)현 나가시노(長篠-장소)성을 둘러싸고 벌어진 전투가 그것이다.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직전신장)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덕천가강)가 이끄는 연합군이 성을 포위하고 있던 다케다 가쓰요리(武田勝賴-무전승뢰)의 군대를 공격하면서 포문을 열었다.

3000명의 총수를 3개조로 나눠 한 번에 1000발씩 발사하는 집중포화였다. 1개조가 장전하여 발사하는 사이에 나머지 2개조는 장전을 끝내고 가다렸다 차례로 발사함으로써 소나기가 내리듯이 총알이 쏟아지는 연발효과를 냈다. 그로써 오다의 조총부대가 다케다의 기병대를 섬멸했으며 나가시노(長篠-장소) 전투는 일본 최초의 현대전으로 평가된다.

그 시기에 발화장치가 달린 조총이 전쟁의 승패를 가름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조총이 일본군의 주력무기로 자리를 잡아갔다. 총이 활을 밀어내는 전환기에 접어들었던 것이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그 전투를 계기로 일본 다이묘들이 앞 다투어 신무기인 조총으로 무장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다이묘들이 포르투갈 조총을 사서 무장하려고 해도 포르투갈이 달라는 은이나 구리가 넉넉하지 않았다. 그 당시 중국의 결제수단은 은이었다. 포르투갈이 중국의 청화백자를 사서 유럽에 가져가서 팔려면 은이 필요했던 까닭에 일본한테 조총을 팔면서 은이나 구리를 요구했던 것이다.

그 때 일본에서는 다이묘들이 전쟁에서 패배한 영주의 농노와 포로를 팔아 전비를 조달하고 있어 인신매매가 성행했었다. 여자는 창녀로 팔아 넘겼고 남자는 일손이 부족한 마을에 끌고 가서 노예로 부렸다. 그것을 알아차린 포르투갈이 노예장사에 나서 많은 일본인들을 사서 해외로 데려가 노예로 팔았다.

그 즈음 포르투갈은 동방무역을 가장 먼저 개척했을 뿐만 아니라 대서양 노예무역도 선도하여 악명을 날리고 있었다. 또한 아시아에서 사들인 노예를 세계 각지로 팔 수 있는 유통망을 갖춘 나라는 포르투갈뿐이었다. 그 때 포르투갈은 아프리카 동해안의 모잠비크에서 사람들을 마카오로 끌고 가서 노예로 부리거나 경비를 맡겼다.

그 당시에 유럽 국가 중에서 포르투갈만이 중국, 일본과 교역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 노예무역은 포르투갈의 주력산업이었다. 포르투갈이 겉으로는 크게 드러내지 않았지만 그 때 일본에서 해외로 가져다 팔아먹은 가장 값나가는 '상품'은 노예였다. 포르투갈이 1543~1638년 한 세기 가깝게 일본에서 많은 사람들을 사서 여러 나라에 노예로 내다팔았다.

전비조달과 돈벌이에 눈이 어두웠던 다이묘들은 농노와 포로들을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노예로 팔아넘기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다이묘들은 포르투갈 상인에게 그들을 넘긴 대가로 조총과 화약을 받았다. 또 중국물자도 샀다. 화약 100kg을 사려면 노예 10여명을 줬다고 하니 사람값이 값이 아니던 시절이었다.

전국시대에는 핏물이 강물을 이뤘다는 말이 있다. 그 말을 뒤집으면 그 만큼 많은 노예를 팔아 화약을 샀다는 소리가 된다. 그 당시 일본에 30여년간 체류했던 예수회의 포르투갈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Luís Fróis)가 기록한 '일본사'에는 큐슈지방에서 이뤄진 노예사냥과 노예거래에 관한 상세한 내용이 나온다. 그 같은 사실은 다른 문서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 1543년 서양으로는 처음으로 일본에 도착한 포르투갈의 상선을 기념한 지도. 포르투갈로부터 일본은 서양의 총 제조술을 배워 임진왜란을 일으켰다. ⓒ 손호철

노예수출의 중심지였던 시마바라(島原-도원)반도 일대에는 포르투갈 말고도 캄보디아, 타일랜드에서 온 노예상들도 노예들을 사들였다. 포르투갈은 수많은 일본인들을 인도, 필리핀, 마카오뿐만 아니라 멕시코, 페루, 아르헨티나 등 라틴아메리카, 스페인에도 노예로 팔아넘겼다. 포르투갈은 일본인들을 수도 리스본과 중국 마카오로 데려가서 포르투갈인의 노예로 삼거나 노예의 노예로 부리기도 했다. 포르투갈은 특히 매춘을 목적으로 많은 소녀노예를 사들였다.

17세기 중반 마카오에는 포르투갈인 2000명과 함께 노예 5000명이 거주했었다. 포르투갈은 동방무역에 진출하면서 점령한 아프리카 동해안의 모잠비크, 인도의 고아, 그리고 오늘날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지에서도 많은 사람들을 마카오로 끌고 가서 노예로 부렸다. 그 마카오에 중국인 거주자도 점차 늘어나서 1664년 2만여 명이 살고 있었다.

마카오에는 중국여자와 결혼한 포르투갈인은 드물었지만 일본인을 노예로 부리거나 일본소녀를 사서 부인으로 데리고 사는 포르투갈인이 적지 않았다. 포르투갈은 일본이 임진왜란을 일으키자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들을 사서 다른 나라에 팔거나 포르투갈이나 마카오로 데려가 노예로 삼았다. 조선인들은 거의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16세기 포르투갈 노예상 페레스가 일본에서 산 일본인 노예 3명을 스페인이 지배하던 마닐라를 거쳐 멕시코로 데려갔다는 기록이 있다. 16세기 남부 포르투갈에는 아프리카, 동인도, 말레이, 중동 등지에서 데려간 노예와 숫자는 적었지만 중국인 노예도 거주하고 있었다. 그 때 포르투갈은 중국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었다.

가톨릭으로 개종한 다이묘 3명이 1582년 소년 4명으로 구성된 유럽견학소년사절단을 유럽에 파견했다. 이른바 천정견구소년사절(天正遣欧少年使節)이다. 여기서 천정은 그 시기의 연호다. 그들은 스페인, 포르투갈의 국왕, 로마 가톨릭 교황을 잇달아 알현하고 1590년 귀국했다. 그 사절단의 회화록에는 그들이 해외에서 목도한 일본인 노예의 참상이 담긴 대목이 나온다.

"우리가 가는 곳마다 노예신세가 된 일본인들을 보았다. 그 때마다 사람을 헐값에 가축처럼 팔아넘긴 우리 민족에 대한 격렬한 생각이 불타오르지 않을 수 없었다."
"저렇게 많은 우리 민족의 남녀를 그것도 어린 소년소녀들을 싼 값에 팔아치워 비참한 천업(賤業)에 종사하는 것을 보고 연민의 정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겠는가?"

포르투갈까지 노예로 팔려간 일본인 중에서도 적지 않은 소녀노예들의 종착지는 리스본 매음굴이었다. 일본 여자노예들은 일본무역에 종사하는 유럽 선원의 첩이나 아프리카 흑인선원의 첩으로도 팔렸다. 그것은 1598년 예수회 포르투갈 신부 루이스 세르꾸에이라(Luis Cerqueira)의 증언에도 나오는 대목이다.

이탈리아 플로렌스 출신 여행가이자 상인인 필리포 사세티는 1578~1582년 4년간 포르투갈 리스본에 거주했었다. 그가 그곳에는 커다란 노예 마을이 있는데 거주자는 거의 흑인이지만 중국인, 일본인 노예도 적지 않다고 기술했다. 포르투갈 사람들은 일본인, 중국인 노예들이 지적이고 근면하다며 아프리카 노예보다 높게 평가했다고 한다.

그에 앞서 1555년 포르투갈 교회의 기록에는 일본인 소녀노예들을 매입해서 창녀로 부릴 목적으로 포르투갈로 데리고 갔다는 내용이 나온다. 일본인 노예의 거래규모가 커지자 1570년 9월 20일 포르투갈 국왕 세바스티앙 1세가 가톨릭 포교에 미칠 악영향을 염려해 일본인 인신매매 금지령을 내렸다.

그것은 포르투갈의 일본인 노예거래에 대해 일본의 반감이 크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뜻이다. 이어서 포르투갈은 1595년 일본인과 중국인을 노예로 팔고 사는 행위를 법제화를 통해 금지했다. 그것은 포르투갈의 일본인 인신매매를 파악한 일본이 교역을 금지하는 사태가 일어날까 포르투갈이 크게 우려했다는 사실을 말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풍신수길)가 일본의 남단지방인 규슈(九州-구주)에서 많은 일본인들이 해외에 노예로 팔려나간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격분했다. 그가 1587년 7월 24일 일본에 파견된 예수회 사절단 부교구장 가스파르 코엘료(Gaspar Coelho)에게 친서를 보냈다. 그것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5년 전의 일이었다.

그 친서를 통해 그는 포르투갈, 타일랜드, 캄보디아는 일본인을 노예로 사고파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인도까지 끌려간 일본인들을 송환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일본이 포르투갈과 예수회를 비난하는 한편 예수회의 포교활동을 금지했다. 그 무렵에 일본은 포르투갈의 노예장사와 포교활동에 대해 인내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일본의 그 같은 조치에 따라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포르투갈 국왕 펠리페 3세가 1624년 2월 19일 중국인을 노예로 부리지 못하도록 금지했다. 그 때 명나라는 북방지역은 청나라의 침공, 남방지역은 네덜란드의 침탈로 정치적, 경제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 그럼에도 명나라가 중국인의 해외이주를 금지한다는 사실을 포르투갈이 크게 의식했음을 알 수 있다.

노예를 팔아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이 전국시대를 거치면서 전투력을 연마하더니 그 총구가 조선을 겨냥했다. 일본이 조선을 침략한 임진왜란(1592~1598년)은 노예전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일본이 무수한 조선인들을 납치해 노예로 부리기도 했지만 포르투갈한테 노예로 팔아먹었던 까닭이다.

[김영호 <지구얼굴 바꾼 인종주의> 저자]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