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성의 헬스토리] `콜록콜록` 괴로운 잔기침, 어찌해야 하나

강민성 2024. 3. 9. 03: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절기에 감기가 걸리지 않아도 잔기침이 계속 나오거나 감기 끝물에 기침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 병원에 가기도 애매하고 무슨 약을 먹어야 하는지, 어떻게 기침을 잡아야 하는지 난감하다.

감기 후 계속되는 잔기침은 기도의 상피세포가 손상을 받아 점액이 마르면서 기침이 계속 유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아이클릭아트>

환절기에 감기가 걸리지 않아도 잔기침이 계속 나오거나 감기 끝물에 기침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 병원에 가기도 애매하고 무슨 약을 먹어야 하는지, 어떻게 기침을 잡아야 하는지 난감하다.

외부 감염으로 생긴 감기로 인한 기침은 보통 2~3주 정도면 회복된다. 하지만 별다른 이유 없이 두달 이상 기침이 계속 나오면 만성적으로 기침을 유발하는 기저질환이 있는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만성기침을 유발하는 질환을 떠올려 보면 폐렴, 결핵, 천식 등 폐질환을 의심하기 쉽다. 한 호흡기 내과 전문의는 "폐질환이 아닌 전혀 의외의 질환들이 만성 기침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조언했다.

만성기침을 유발하는 첫 번째 질환은 알레르기 질환이다. 알레르기 질환 중 축농증, 비염 등이 있는 사람들은 콧물이 목뒤로 넘어가면서 기도와 기관지에 있는 기침 수용체를 계속 자극해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의 정식 명칭은 '후비루증후군'이라고 하는데, 기침 증상의 원인이 목이 아닌 코에 있다는 것을 모르고 병원에 가서 엉뚱한 치료를 받는 사람들이 많다.

한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실제 감기가 끝났는데도 기침을 계속해 병원을 찾은 한 환자의 코안을 살펴보니, 코 안 점막은 부어 있고 분비물이 맺혀있는 경우가 있었다"며 "이는 후두부에 분비물이 걸쳐 있는데 콧물이 넘어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레르기 질환일 경우 콧물을 줄여주는 약제를 치료받아 최대한 분비물을 줄여야 한다. 또 코와 입이 미세먼지와 급격한 온도 변화에 노출되지 않도록 야외에 나갈때 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한다. 식염수로 코안쪽을 씻어내고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6세 이하 어린아이가 오래 기침을 한다면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고한다. 만약 집먼지 알레르기 관련 항체가 발견될 경우 조기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감기나 코로나에 걸린 후 기침이 오래가는 경우 엑스레이 검사를 해도 정상인 경우가 많다.

감기 후 계속되는 잔기침은 기도의 상피세포가 손상을 받아 점액이 마르면서 기침이 계속 유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기관지 상피세포를 회복시켜 주는 약물을 처방받아야 한다.

소화기질환도 만성기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역류성식도염은 위산이 식도와 기관지를 자극해 기침을 유발하는데, 속쓰림, 화끈거림 등의 증상과 함께 침을 삼킬 때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고, 아침에 주로 기침이 심하다.

이 경우에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잔기침은 의식을 하게 되면 더 기침이 나오고, 어느 순간 참으려고 해도 지속해서 발작성 기침이 나와 괴로울 때가 있다.

갑자기 잔기침이 심할 때는 사탕을 먹거나 따듯한 차에 증기를 흡입하면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한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평소에 스카프나 목이 올라오는 옷으로 목을 감싸 따듯하게 유지해 주고 잠을 잘 때 완전히 누워 자는 것보다 상체를 비스듬히 세워자는 것이 도움 된다"고 말했다. 강민성기자 km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