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 ‘비단벌레’ 생활사 규명 성공

방기준 2024. 3. 8. 0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월군과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센터장 이대암)가 국내 최초로 신비의 곤충인 천연기념물 제496호이자 멸종위기 1급 곤충인 비단벌레(학명 Chrysochroa coreana)의 생활사 규명에 성공해 관심을 끌고 있다.

센터는 2018년부터 문화재청 지원을 받아 국내산 비단벌레 원종(原種)을 확보한 뒤 인공적으로 짝짓기를 시킨 후 알에서 성충으로 우화하는 전 과정에 대한 생활사 규명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성공 대량증식 가능
▲ 비단벌레 성충 사진 제공=영월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

영월군과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센터장 이대암)가 국내 최초로 신비의 곤충인 천연기념물 제496호이자 멸종위기 1급 곤충인 비단벌레(학명 Chrysochroa coreana)의 생활사 규명에 성공해 관심을 끌고 있다.

센터는 2018년부터 문화재청 지원을 받아 국내산 비단벌레 원종(原種)을 확보한 뒤 인공적으로 짝짓기를 시킨 후 알에서 성충으로 우화하는 전 과정에 대한 생활사 규명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비단벌레 유충기(幼蟲期)는 실험실 조건에서 무려 5년 6개월이나 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인공증식을 통해 1∼2년으로 유충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까지도 동시에 개발하면서 앞으로 비단벌레 대량 증식이 가능해졌다.

우리나라 고유종인 비단벌레는 주로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서식하며, 개체 수가 적고 서식지가 점점 파괴되면서 멸종위기에 처해 있지만 비단벌레 유충이 얼마 동안 무엇을 먹고 어떻게 성장하는지에 대한 생활사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다.

이는 비단벌레 유충이 수년간 나무속에서 목질부를 먹고 살다가 성충이 되면 구멍을 뚫고 나오는 천공성(穿孔性) 곤충 특성 때문이었다.

이대암 센터장은 “비단벌레가 대량으로 증식될 경우 자연방사를 통해 멸종위기에 처한 비단벌레 서식지를 확대하는 한편 사육 후 죽은 비단벌레 껍질은 장차 문화재 복원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기준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