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빅5 병원 매출 감소를 국민 건강보험료로 메워선 안 돼”

전지현 기자 2024. 3. 7. 22: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13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오가고 있다. 조태형 기자

정부가 전공의 집단행동 대책인 ‘비상진료체계’에 건강보험 재정을 사용하겠다고 발표한 것을 두고 시민사회단체들이 비판에 나섰다.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무상의료운동본부)’는 7일 성명을 내고 “‘빅5’ 등 민간 대형병원 매출 감소를 국민의 건강보험료로 메워줘선 안 된다”고 했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이날 회의를 열고 월 1882억원 규모의 비상진료체계 건강보험 추가 지원방안을 내놓았다.

무상의료운동본부는 “이는 의사 파업으로 인한 대형 민간병원들의 매출 감소를 건강보험 재정으로 메워주겠다는 발표”라며 “건강보험 재정은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완화할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형병원은 간호사 등 병원 노동자들에게 무급휴가를 강요하며 집단행동의 손해를 떠넘기고 있다. 정부는 왜 이런 문제를 바로잡지 않으면서 그들의 이익을 위해 국민의 주머니만 열려 하나”라고 비판했다.

무상의료운동본부는 “이 문제는 중대본에서 논의할 것이 아닌 건강보험에 대한 사회적 합의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회 전체회의에서 논의되어야 할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의료대란을 해결하려면 건강보험료를 퍼줄 게 아니라 필수과 전문의 고용을 늘리도록 강제해야 하며, 공공의료에 투자해야 한다”고 했다.

무상의료운동본부에는 참여연대와 양대노총, 보건의료단체연합 등 36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다.


☞ [속보]이탈 전공의 1만1219명···건보재정 1882억 투입해 대응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403071100001

전지현 기자 jhy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