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흑두루미 70% '서산행'…멸종위기종인데 무슨 일?

정영재 기자 2024. 3. 7. 20: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멸종 위기종인 천연기념물 흑두루미는 전 세계 2만 마리 정도 남아있습니다. 그런데 이 중 70%에 달하는 1만 4천 마리 정도가 충남 서산에 몰려있다고 합니다.

어찌 된 일인지, 정영재 기자가 현장에 가봤습니다.

[기자]

수확이 끝난 논에 회색 옷 입은 새들이 날아들었습니다.

하얀 목에 검은 머리,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흑두루미입니다.

전 세계 2만 마리도 남지 않았습니다.

시베리아와 몽골에서 새끼를 낳고 겨울이면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날아옵니다.

일본과 전남 순천에서 겨울을 나고 러시아로 돌아가는 길, 흑두루미들은 서산 천수만에 들렀습니다.

작은 게나 물고기 곡식을 먹는데 넓은 논이 있는 천수만이 중간 기착지인 겁니다.

천수만에 들른 흑두루미는 모두 1만 4천 마리로 추산됩니다.

전 세계 남은 흑두루미 70%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지난해 겨울 일본 이즈미 지역과 순천엔 조류인플루엔자가 돌았습니다.

흑두루미 가운데 10%가 폐사했고 정말 멸종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왔습니다.

그런데 천수만에 몰린 두루미 떼를 조사했더니 줄었던 개체 수는 다시 원상태로 돌아온 걸로 확인됐습니다.

서산시는 흑두루미들에게 20년 넘게 장소를 정해 먹이를 주고 있습니다.

올해는 한 곳에 몰려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되는 걸 막기 위해 먹이 주던 장소를 분리했습니다.

이런 정성이 통했는지 그 어느 해보다 서산을 많이 찾았습니다.

천수만에서 배를 채운 흑두루미들은 봄이 되기 전 시베리아로 돌아갑니다.

내년엔 더 많이 돌아오기를 기대합니다.

[화면출처 김신환 천수만 지킴이·유튜브 '생태줌인TV']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