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대형병원 수술·병상 절반으로 ‘뚝’… 市, 재난관리기금 투입

박귀빈 기자 2024. 3. 7. 18:18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야근 의료진 당직비 지원... 신규 채용 인건비 등 필요시 사용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의료대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야간 연장진료를 하고있는 인천 동구 인천의료원 의료진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경기일보DB

 

인천 대형병원의 전공의 집단 사직서 제출 및 출근 거부 등으로 병상 가동률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의료 공백이 현실화하고 있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현재 인천의 전체 전공의 540명 중 계약 미체결자는 인턴 148명 등 238명(44%)이며, 근무지 이탈 전공의는 380명에 이른다.

이로 인해 이들 전공의들이 근무하던 대형병원의 병상 가동률이 절반 수준까지 떨어지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재 가천대 길병원의 경우 지난 1주일간 병상 가동률은 51%에 불과하며, 인하대병원은 61% 수준이다. 전공의 이탈 초반 병상 가동율은 80%를 유지했지만, 장기화로 전문의 등의 피로감이 높아지면서 병상 가동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병원의 수술 건수도 전공의 부족으로 취소 및 연기가 이어지면서 평상시의 40~50% 수준으로 급감했다.

여기에 길병원은 응급실 내원 환자 수가 종전 170~180명에서 120명으로 줄어드는 등 33%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보건 당국은 집계했다.

이에 따라 대형병원들은 병동 통합을 검토하고 있다. 인하대병원과 길병원은 입원 환자 수가 적은 내과 관련 병동 등 2곳을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길병원의 한 의사는 “현재 급하지 않은 수술은 다 미뤄두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병동 통합 이야기도 나오는 등 병원 운영 자체가 빠듯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전공의 파업이 길어질수록 현장에 남은 의료진들이 더욱 힘들어 질 것”이라며 “언제까지 이어질지 걱정스럽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대형병원의 차질로 인천지역의 공공의료기관은 비상 연장 진료를 하고 있다. 인천적십자병원은 주말 오전 8시30분~12시30분까지, 인천시의료원은 주밀진료 및 평일 오후 10시까지 2시간 연장해 운영 중이다. 인천시의료원 관계자는 “전문의들이 번갈아가면서 당직을 서는 형태”라며 “아직까지는 크게 부담이 없지만 이 같은 운영이 장기화할수록 의료진들의 피로도가 많이 쌓일 것”이라고 했다.

시는 이들 공공의료기관의 추가 인건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재난관리기금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재 의료진의 1일 100만~200만원의 당직비와 신규 채용에 대한 인건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보건복지부의 지원 금액 등 가이드라인을 기다리고 있다”며 “우선 의료진에 대한 당직비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공공병원 내부적으로 필요한 추가 예산 등을 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귀빈 기자 pgb0285@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