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박에 'HBM 강자'된 마이크론 … K반도체 인재 빼내 개발 의혹

최승진 기자(sjchoi@mk.co.kr), 성승훈 기자(hun1103@mk.co.kr) 2024. 3. 7. 1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법원 전직금지 가처분 인용
前SK하이닉스 HBM 연구원
2022년 퇴직후 1년안돼 이직
마이크론 곧바로 5세대 양산
전직금지 가처분 신청냈지만
심리만 7개월…국부유출 지속

◆ 반도체 기술유출 비상 ◆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전쟁이 격화되는 흐름 속에서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SK하이닉스 연구원 출신 A씨를 영입한 사실이 드러난 것은 단순한 '인재 유출'의 이슈로만 보기 어렵다는 것이 국내 산업계의 시각이다. AI 반도체의 '핵심'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후발 주자인 마이크론은 지난달 4세대를 건너뛰고 5세대 HBM3E 양산에 들어갔다고 선언한 바 있다. 선발 주자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단숨에 따라잡으며 업계를 놀라게 한 것이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전직 연구원 A씨뿐 아니라 국내 반도체 인재들이 마이크론으로 옮겨간 사례가 상당수 있다고 보고 있다. 마이크론이 인력을 영입해 기술을 습득하는 방식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기술 속도를 따라잡았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7일 법조계와 반도체 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제50민사부(수석부장판사 김상훈)로부터 전직 금지 가처분이 인용된 A씨는 SK하이닉스에서 메모리연구소 설계팀 주임연구원, D램 설계개발사업부 설계팀 선임연구원, HBM사업 수석, HBM 디자인부서 프로젝트 설계 총괄 등으로 근무했다.

2015년부터 매년 A씨는 정보보호서약서를 작성했고, 퇴직 시점에는 전직 금지 약정서와 국가핵심기술 비밀유지 서약서도 썼다. 약정서에는 마이크론을 비롯한 경쟁 기업이 구체적으로 명시됐으며 전직 금지 기간도 2년으로 적혀 있었다. 그가 퇴직한 시기는 2022년 7월로, 이때는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HBM3를 양산한 지 1개월이 된 시점이었다.

정보보호서약서와 전직 금지 약정서, 국가핵심기술 비밀유지 서약서까지 썼음에도 A씨는 약정기간에 앞서 마이크론 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뒤늦게 파악한 SK하이닉스가 지난해 8월 A씨를 상대로 전직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A씨가 실제 마이크론에 취업한 시점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A씨가 해외에 체류 중인 만큼, 결정문이 실제 송달되기 전까지는 법적인 효력이 발생하지 않아 실제 효력이 발생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소요될 수밖에 없다.

현재 AI 반도체 시장은 격변기로 접어들며 하루가 다르게 시장 판도가 바뀌고 있다. 특히 마이크론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거세게 추격하는 HBM 시장은 이 같은 판도 변화가 더 두드러진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적층한 칩이다.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비롯한 연산장치 바로 옆에서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달해 AI 반도체의 핵심으로 꼽힌다.

현재 HBM 시장은 SK하이닉스가 절반가량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주도권을 쥐고 있다. 삼성전자도 최근 24기가비트(Gb) D램 칩을 '실리콘 관통 전극(TSV)' 기술로 12단까지 적층해 업계 최대 용량인 36GB HBM3E 12H(High·12단 적층)를 구현하는 데 성공하면서 차세대 HBM 시장 경쟁에도 불이 붙은 상황이다.

이 가운데 글로벌 D램 3위 기업이자 HBM 후발 주자인 마이크론이 5세대 HBM인 HBM3E를 양산한다고 선언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바짝 추격하고 나선 것이다.

특히 마이크론은 자사의 HBM3E 제품이 올해 2분기 출하를 시작하는 엔비디아의 새로운 칩 H200 GPU에 사용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업계를 긴장시켰다. 마이크론의 HBM3E 양산 시점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보다 앞선 것은 물론, AI 반도체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고객사라는 사실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특히 마이크론은 미국 기업이라는 점에서 국내 기업에는 더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기대할 수 있고, 미국 기업들 사이에 퍼지는 '자국 기업 선호' 분위기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D램 시장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의 '텃밭'으로 분류돼 왔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작년 4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45.7%, SK하이닉스가 31.7%, 마이크론이 19.1%로 집계됐다. 아직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존재감이 굳건하지만, AI 반도체 경쟁의 격화로 시장 판도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마이크론이 급부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선 사건 심리에만 7개월이 걸린 데다 A씨가 해외에 있어 결정문을 송달하지 못해 법적 효력도 없는 상황이라 답답하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기술유출 범죄나 약정·의무 위반에 대해 강한 처벌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승진 기자 / 성승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