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상업영화 35편 중 여성감독 작품 ‘교섭’ 1편

손봉석 기자 2024. 3. 7. 17: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교섭’ 포스터



지난해 국내 극장가 중심에 있었던 일정 규모 이상 한국 상업영화 가운데 여성이 메가폰을 잡은 작품은 단 한 편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가 됐다.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가 7일 발표한 ‘2023년 한국 영화 성인지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개봉한 고예산(순제작비 30억원 이상) 한국 상업영화 35편을 연출한 감독들 가운데 여성은 ‘교섭’의 임순례 감독 1명(2.7%)뿐이었다.

영진위는 2017년부터 해마다 한국 영화산업의 성평등 현황을 조사해 성인지 결산 보고서를 내고 있다. 지난해 한국 상업영화의 여성 감독 비율은 최저치였다.

여성 제작자(22명·23.9%), 프로듀서(13명·23.6%), 주연배우(9명·25.7%), 각본가(12명·21.8%)도 모두 30%에 못 미쳤다. 촬영감독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저예산 상업영화와 독립·예술영화를 포함한 한국 영화 183편으로 대상을 확대하면 여성 감독은 49명(22.8%)으로 비율이 높아진다.

여성 제작자(77명·24.8%), 프로듀서(71명·31.0%), 주연배우(81명·40.7%), 각본가(67명·30.7%), 촬영감독(18명·8.1%)의 비율도 고예산 상업영화보다는 높았다.

한국 영화를 이끌어가는 핵심 인력의 여성 비율이 저조한 현실은 한국 영화가 남성 중심적으로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지난해 공개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오리지널 영화 7편을 봐도 여성 감독과 촬영감독은 한 명도 없었다. 각본가도 1명(16.7%)에 그쳤다. 여성 제작자(4명·50.0%), 프로듀서(3명·37.5%), 주연배우(5명·83.3%)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았다.

OTT 콘텐츠 여성 주연 비율이 높았던 건 ‘정이’,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길복순’, ‘발레리나’ 등 여성 주연작이 지난해 잇달아 공개된 데 따른 것이다. 때문에 OTT 콘텐츠는 아직 표본이 적어 일반화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게 영진위의 설명이다.

코로나19 팬데믹 후 영화계에서 과감한 실험을 시도하는 경향이 위축되면서 여성 인력에 돌아갈 기회는 더 줄어들 수 있다고 영진위는 진단했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