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칼럼] 자객 형가(荊軻) 이야기

권상인 ㈔부산문화유산연구회 이사장·예술학박사 2024. 3. 7. 03: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칼쓰기에 능하다 소문나 시황제 자객으로 초청돼
암살 시도 중 비수 들켜…中 역사상 가장 극적사건
권상인 ㈔부산문화유산연구회 이사장·예술학박사

중국 전국시대 말기, 발해만으로 흘러드는 황하 하류 북쪽에 있던 조나라가 한때 강성했다. BC 250년 무렵 조나라 수도 한단에 진나라 태자 ‘정(政)’과 연나라 태자 ‘단(丹)’이 볼모의 신세로 만나 한때 오순도순 지냈다. 진나라 태자 정이 BC 247년 5월 아버지 장양 왕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되었을 때, 연나라 태자 단은 다시 볼모의 신세로 진나라 수도 함양에 왔다. 이때 임금 정은 두서너 살 아래의 단을 홀대해 단의 마음엔 원한이 쌓였다. 게다가 점진적으로 국력을 길러 천하를 정복하려는 진 왕의 야심을 간파하고, 단은 BC 232년 함양을 떠나 연나라 수도 계성까지 1500㎞나 되는 장거리를 야간 도주해 귀국해 버린다. 이 진나라 왕이 후에 전국을 통일한 ‘진시황제’다.

그로부터 2년 후, 진나라는 서북쪽의 한(韓)나라를 멸하고 1년 후, 다시 조나라를 격파했다. 조나라 북쪽에 있던 연나라 태자 단은 풍전등화와 같은 조국을 진나라로부터 살려내기 위해서는 군사적 대결로는 불가능함을 알고 전전긍긍하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단이 진나라에 볼모로 있을 때 친하게 지냈던 장군 번어기가 연나라로 망명해 왔다. 태자의 스승 국무가 태자에게 “번 장군이 연나라에 있다는 소식을 진 왕이 알면 큰일입니다. 태자께서는 빨리 번 장군을 흉노 땅에 보내기 바랍니다. 그리고 남쪽의 제나라, 멀리 초나라와 연합하고 북으로 흉노의 왕들과 강화를 맺어야 우리가 진나라를 견제할 수 있습니다”라고 충고한다. 그러나 태자는 스승의 계획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고 당시 현자로 이름난 위(衛)나라 사람 형가를 은밀하게 자객으로 초청했다.

형가는 학문이 깊고 칼 쓰기의 명수였으므로 그에게 높은 벼슬을 주고 날마다 좋은 음식과 미희를 보내 정중히 대접했다. 그러나 자객 형가는 1년이 지나도록 진나라로 떠날 생각은 하지 않고 계속 뭉개고 있었다. 답답했던 태자 단이 참다못해 형가에게 “진나라 군대가 연나라 남쪽 역수를 건너 곧 쳐들어올 것만 같아 마음이 급해진다”고 말한다. 그러자 형가는 “태자의 말씀은 잘 알겠지만 지금 맨손으로 진나라에 간다 해도 진나라 왕을 만날 수 없습니다. 진나라를 배신하고 연나라로 온 번어기 장군을 진 왕이 현상금을 걸고 찾고 있다고 합니다. 하오니 번 장군의 머리와 독항 땅의 지도를 가지고 진나라에 사신으로 간다면 왕이 반드시 소신을 만나 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독항 지역은 연나라의 군사적 요충이며 비옥한 평야가 전개돼 있어 연나라의 보고였다. 태자는 독항 지도를 두루마리 형태로 만들고 천하에 예리하기로 유명한 서부인의 비수를 많은 돈을 주고 사들여 그 칼날에 독약을 발라 지도 중심에 숨겼다. 이 비수로 진 왕의 피부에 엷은 상처를 내기만 해도 그 자리에서 바로 죽도록 준비한 것이다. 또 장군 번어기의 머리를 넣은 상자를 준비하고 진무양이란 용사를 부사로 형가를 수행토록 했다.

드디어 진나라에 도착한 자객 형가는 번어기의 머리와 독항 지도를 바치는 것을 빙자하여 사신 자격으로 진나라 왕과의 대면을 청했다. 왕은 매우 기뻐하며 형가의 일행을 함양 궁에 초청해 대면한다. 왕이 번어기의 머리를 확인하는 절차가 끝나자, 형가는 독항 지도의 두루마리를 진무양에게서 받아 왕에게 설명하기 위해 앞으로 다가갔다. 두루마리를 탁자 위에 놓고 서서히 풀면서 지도를 설명하기 시작했다. 두루마리의 마지막 부분이 펼쳐지는 순간, 비수가 노출됨과 동시에 형가가 왼손으로 진 왕의 오른쪽 소매를 움켜쥐고, 오른손으로 비수를 들어 가슴을 찔렀다. 그러나 비수가 몸에 닿기 전, 깜짝 놀란 진 왕이 상체를 뒤로 젖히며 벌떡 일어남과 동시에 오른쪽 소매가 찢어지면서 돌아서서 도망가자, 형가가 비수를 들고 뒤를 쫓았다. 왕이 기둥 사이를 돌며 쫓기는 그 절체절명의 순간, 허리에 장검을 차고 있던 왕은 황급한 나머지 자기가 칼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조차 잊고 있었다.

진나라 법에 궁전 안에서는 왕 이외에는 칼을 지닐 수 없었으므로 그곳에 있는 신하들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때 한 신하가 진 왕에게 칼을 빼서 치라고 소리쳤다. 그때야 왕이 오른손으로 칼을 뽑아 등 뒤로 돌려서 뒤쫓아오는 형가의 왼쪽 무릎을 쳐서 바닥에 주저앉혔다. 형가가 앉은 채로 왕을 향해 비수를 던졌으나 기둥에 맞고 떨어졌다. 되돌아선 왕의 장검이 형가의 몸을 여러 번 내려치니 바닥에 유혈이 낭자했다. 형가가 진 왕을 알현해 두루마리 지도를 설명하는 끝머리의 상황을 사자성어로 ‘도궁비수(圖窮匕首)’라 한다.


이 ‘형가의 자객 사건’은 전국시대 말기 국력이 쇠잔했던 연나라가 강국인 진나라와 군사적 대결을 피하며 영토를 보전하기 위해 자객을 보내 진나라 왕을 암살하고자 한 중국 역사상 가장 극적이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객’ 사건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