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칩 개구리 못지 않은 봄 예언자 땅다람쥐…적중률은?

김양순 2024. 3. 6. 15: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에선 24절기 가운데 '경칩'(3월 5일 무렵)을 봄이 오는 신호탄으로 봅니다.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면 "아,봄이구나!" 한다는 거죠.

북미 전통에 따르면, 2월 2일에 땅다람쥐가 자신의 그림자를 보면 봄이 6주가량 더 늦게 온다고 합니다.

이 클럽은 100년 이상의 땅다람쥐 봄 예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에서 봄을 알리는 땅다람쥐(Groundhog)


우리나라에선 24절기 가운데 '경칩'(3월 5일 무렵)을 봄이 오는 신호탄으로 봅니다.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면 "아,봄이구나!" 한다는 거죠.

실제 봄은 언제부터일까요?

기상청은 일 평균 기온이 5℃ 이상으로 올라간 후 열흘 넘게 떨어지지 않으면 '봄'이 왔다고 정의합니다.

9일 내내 따뜻하다가 열흘째에 꽃샘추위가 와서 일 평균 기온이 뚝 떨어진다면 아직 '봄'이 아닌 거죠.

요즘 일 평균 기온은 영상 2~3도 가량에 머물러 있습니다.

경칩이 지났고 개구리를 발견했다는 제보도 잇따르고 있지만, 기상학적으로는 아직 봄이 오지 않은 겁니다.

■미국·캐나다서 100년간 봄 예언해 온 땅다람쥐

우리나라의 경칩 개구리처럼 미국과 캐나다에도 봄의 전령, 혹은 예언자로 불리는 동물이 있습니다.

마못이라 불리는 땅다람쥐(groundhog)입니다.

펜실베이니아와 뉴욕 스탠튼 아일랜드, 일리노이 등 미국의 동북부 곳곳에서는 2월 2일을 '그라운드호그 데이'(Groundhog Day)로 정하고, 축제를 열어 봄을 기다립니다.

북미 전통에 따르면, 2월 2일에 땅다람쥐가 자신의 그림자를 보면 봄이 6주가량 더 늦게 온다고 합니다.

이 전통은 유럽에서 유래했는데, 독일에서는 고슴도치가 2월 2일에 자신의 그림자를 보면 5월까지 눈이 내릴 것이라고 봤습니다.

이 독일 이민자들이 펜실베이니아에 정착하면서 고슴도치를 땅다람쥐로 대체했습니다.

전통을 지역 동물에게 전수(?)한 셈이죠.

■땅다람쥐는 봄을 어떻게 예언할까?

이런 전통은 과학적으로 봤을 때 전혀 근거가 없는 얘기는 아닙니다.

겨울에 차가운 고기압이 자리잡으면, 하늘은 맑지만 찬 공기가 그대로 머물면서 봄은 더디게 옵니다.

땅다람쥐가 땅 속에서 나와 자신의 그림자를 본다는 건 하늘이 맑다는 것이고, 그만큼 고기압의 영향이 강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하늘이 우중충해 땅다람쥐가 자신의 그림자를 보지 못한다면, 고기압의 세력이 약해 찬 공기가 빠르게 흩어진다는 뜻이겠죠.

■땅다람쥐의 봄 예측 적중률은?

미국 국립해양대기국이 집계하는 그라운드호그의 봄 예측 스코어


'그라운드호그 데이'의 주인공 땅다람쥐 중에서 가장 유명한 건 펜실베이니아에 살고 있는 필(Phil)입니다.

펜실베이니아주 펑크수토니에 있는 '펑크수토니 클럽'은 해마다 '그라운드호그 데이'에 지역에 서식하는 땅다람쥐 중 한 마리를 필로 선정해, TV 카메라와 환호하는 군중 앞에서 공개합니다.

이 클럽은 100년 이상의 땅다람쥐 봄 예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필은 99번의 겨울(늦은 봄)과 15번의 이른 봄을 예언했고, 이 예언은 39%가 들어맞았다고 합니다.

미국 정부 기관인 국립 해양대기국도 '그라운드호그 데이'에 적극적인데요.

해양대기국 집계에서는 최근 10년 사이 필의 적중률이 30%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