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대한 ‘듄’ 세계관의 기원… 허버트 단편집서 찾아볼까

오경진 2024. 3. 6.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속편이 개봉하며 화제를 몰고 있는 영화 시리즈 '듄'의 원작자 프랭크 허버트(1920~1986)의 단편소설집이 국내 최초로 번역됐다.

영화계 불문율을 깨고 '속편이 더 낫다'고 평가되는 '듄'의 원작은 작가가 구상한 방대한 세계관으로 인해 오랫동안 분석과 연구의 대상이 됐다.

이번 단편집에는 '듄' 세계관의 원형이 되는 설정들이 담겨 있다는 게 출판사의 설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속편이 개봉하며 화제를 몰고 있는 영화 시리즈 ‘듄’의 원작자 프랭크 허버트(1920~1986)의 단편소설집이 국내 최초로 번역됐다.

민음사의 장르문학 계열사인 황금가지는 작가가 활동했던 1952년부터 1985년까지 각종 매체를 통해 발표된 SF 단편 32편을 두 권으로 엮어서 출간했다. 허버트가 최초로 발표한 작품인 ‘뭔가 찾고 계신가요?’부터 1961년작까지를 묶은 ‘오래된 방랑하는 집’과 1962~1985년에 쓴 작품이 담긴 ‘생명의 씨앗’이다.

영화계 불문율을 깨고 ‘속편이 더 낫다’고 평가되는 ‘듄’의 원작은 작가가 구상한 방대한 세계관으로 인해 오랫동안 분석과 연구의 대상이 됐다. ‘듄’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분석한 사전이나 해설집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이유다. 황금가지는 앞서 올해 초에도 영국의 저널리스트 톰 허들스턴이 쓴 듄 세계관 해설집 ‘듄의 세계’를 내놓기도 했다.

이번 단편집에는 ‘듄’ 세계관의 원형이 되는 설정들이 담겨 있다는 게 출판사의 설명이다. 1959년에 발표된 ‘건초 더미 작전’은 ‘사이의 사제’와 이어지는 허버트의 연작 우주 첩보물 중 하나다. 이 연작 단편에서는 ‘듄’에서 권력의 흐름을 조종하는 조직인 베네 게세리트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 1965년에 발표된 ‘GM 효과’는 듄에 등장하는 향신료인 ‘스파이스’ 부작용으로 선대의 의식과 기억이 연결되는 이야기를 다룬 ‘듄’의 중반부 주요 설정의 시작점으로도 평가된다. 1956년작 ‘사격 중지’는 ‘듄’의 독특한 근거리 전투와 원거리 사격 무기 체계에 관한 발상의 기원으로 보이기도 한다.

꼭 ‘듄’과의 관련성이 없더라도 재밌게 읽을 수 있는 단편도 많다. 농장에 해를 끼치는 코요테를 제거하려다가 지구상에서 갯과 동물이 모두 멸종한다는 상상력의 ‘사라진 개들’(1954년), 타임머신으로 수만 년 전 살았던 원시인을 현대로 데려와 광석 세공을 맡긴다는 ‘원시인’(1966년) 등이 대표적이다.

오경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