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 밀집 시장 화재 사각지대…안전 대책은?

김아르내 2024. 3. 5. 19: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전통시장 주변은 화재 위험에서 벗어나기 힘든데요.

그 이유는 무엇이고, 대안은 없을지,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아르내 기자, 일반 시민들이 보기에는 시장 구획이 정확하게 와닿지 않거든요.

어떻게 구분할 수 있습니까?

[기자]

네, 시장 구획이라고 하면 다소 생소하실 수 있습니다.

보통 시장이라고 하면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이고, 장이 서면서 만들어진 상권인데요.

2018년부터 이 전통시장을 소방시설법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에 포함시키면서, 이 범위가 중요해졌습니다.

전통시장이 워낙 시설이 노후하고 불이 났을 때 그 위험이 크다보니까, 법적으로 관리 대상에 포함시키자는 취지였는데요.

특히 전통시장 가운데 대형·중대형 시장은 소방안전 특별관리시설물로 지정해서 소방청장이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자동 화재 속보 설비, 그러니까 스프링클러뿐만 아니라 화재탐지기 등을 설치하는 것을 의무화 했는데요.

중점관리대상은 1년에 한 번 소방 점검 보고서를 받아보고,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시장들도 소방과 자치단체가 나서서 매월 안전 점검 등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중요한 게 어디까지가 시장이냐, 이건데요.

시장 구획을 정하는 건 시장 번영회의 몫입니다.

보통 요즘은 천장을 막아놓은 아케이드 형태 시장이 많은데, 이 아케이드 안까지를 시장으로 정하거나, 상인회에 가입한 상점이 있는 곳까지를 기준으로 하기도 합니다.

자의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셈인데, 이 때문에 일반 시민들은 어디까지가 시장이고 아닌지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저희가 취재한 기장시장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불이 났던 곳 바로 앞부터 시장이었거든요.

하지만 취재진이 체감하기로는 이미 골목 앞에서부터 시장에 들어왔다는 인상을 줘서 구분이 어려웠습니다.

[앵커]

전통시장 화재점검은 법으로 정한건데, 결국 시장에 포함 안되면 점검 대상에서도 빠지잖아요?

그런데 빠진 곳들이 화재에 더 취약하다는 거죠?

[기자]

네, 소방점검 대상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시장 번영회가 정하는 구역으로 한정됩니다.

예를 들어 충무동 해안시장이나 자갈치시장은 시장들이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구획을 나눠도 관리 대상에 대체로 포함되는데요.

상가형, 그러니까 건물로 된 시장도 건물 전체가 소방 점검 대상에 들어갑니다.

문제는 앞서 보신 것처럼 야외와 섞여 있는 아케이드형 시장인데요.

아케이드가 설치된 구역까지만 시장으로 대체로 보는데, 그렇게 되면 바로 앞 노점상과 일반 상점들은 모두 화재 점검대상에서 빠지게 되거든요.

이 경우 불이 시장 앞에서 나서 시장 안으로 옮겨붙을 수도 있고, 평소 점검 대상이 아닌데다 노점상 등 불에 타기 쉬운 구조가 많아 자칫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거죠.

[앵커]

그렇다면 법 기준을 마련하고도 화재 예방이 제대로 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한 건데, 대안은 없습니까?

[기자]

전문가들은 법에 분명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현행법이 시장 상권을 포괄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건데요.

시장 주변 상권이 대부분 노점상이나 가건물로 만든 무허가 건물이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시장에 설치하는 노점상들의 자체적인 점포 안전 기준을 마련하거나, 화재 점검 폭을 늘려야 한다고 봤는데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불이 나면 우선 피해는 모두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시장 번영회 가입 유무와 관련없이 안전망이 모두에게 고루 적용돼야 한다는 거겠죠.

소방도 우선은 시장 점검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 주변 상가들에 불이 날 경우 전략적으로 효과적인 화재 대응법을 고민하는 등 대안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김아르내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