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비례대표 밀실 공천 논란에 “물리적 시간 부족”

김영호 기자 2024. 3. 5. 11:59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전략공천관리위원회 비례대표 후보 추천 분과위원장인 김성환 의원이 5일 국회에서 후보자 추천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5일 비례대표 후보 공천과 관련, 밀실공천 논란이 일자 비례연합 참여로 당헌·당규를 따르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김성환 전략공관위 비례대표후보추천 분과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진보당·새진보연합·시민사회와 비례대표 선출 관련 내부 협상이 진행되고 있어 당의 당헌·당규에 따라 절차를 진행하기 어려웠다”며 “4년 전과 달리 지금은 당헌·당규 절차를 따르기엔 물리적, 시간적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비례대표 후보를 전략공관위원회 심사로 결정하기로 했다.

그러나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비례대표 공천은 비례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한 뒤, 비례공관위에 공모한 이들은 전당원 투표와 중앙위원 순위투표에 따라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1대 비례대표 공관위원장이었던 우상호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밀실에서 소수가 후보를 결정하는 과거의 방식으로 혁신과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이에 김 분과위원장은 “4년 전에는 독자적 후보 공천을 염두에 두고 진행하다 뒤늦게 비례연합당 참여를 결정했다"며 “당시 민주당이 절차에 따라서 선출한 후보를 비례연합당 후순위 배치하는 걸로 비례공천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에는 공관위 구성하기 이전 비례연합당 참여를 당의 방침으로 정했다"며 “2월말 정치 협상을 마친 뒤 (결정 방식에 대해) 내부 검토를 했지만 3월10일까지 비례대표 후보를 추천해야 해 시간이 2주밖에 남지 않은 상태에서 결정해야 했다"고 부연했다.

김영호 기자 ho3920@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