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 미스터리’ 239명 태운 항공기, 흔적없이 사라졌다…10년째 행방묘연

2024. 3. 5. 06: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말레이시아 정부가 국적 항공기 실종 사건 10주년을 맞아 강력한 새 증거가 나오면 사건을 재조사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말레이시아 항공 MH370 여객기 실종 10주년을 나흘 앞둔 4일(현지시간) 호주 맬버른에서 개막한 아세안(ASEAN·동남아 국가연합)·호주 특별정상회의에 참가해 기자회견을 갖고 이렇게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레이 항공기 실종 사건 10주년
총리 “증거 나오면 기꺼이 재조사”
[로이터=연합]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123RF]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국적 항공기 실종 사건 10주년을 맞아 강력한 새 증거가 나오면 사건을 재조사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말레이시아 항공 MH370 여객기 실종 10주년을 나흘 앞둔 4일(현지시간) 호주 맬버른에서 개막한 아세안(ASEAN·동남아 국가연합)·호주 특별정상회의에 참가해 기자회견을 갖고 이렇게 밝혔다.

안와르 총리는 "사건을 재조사할 필요가 있을 만큼 강력한 증거가 나오면 기꺼이 다시 조사할 수 있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며 "(사고 진상 파악을 위해)무엇이든 할 필요가 있으면 해야 한다"고 했다.

말레이시아항공 MH370 여객기는 2014년 3월8일 239명을 태운 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이륙해 중국 베이징으로 향하던 중 인도양으로 기수를 돌린 뒤 갑자기 사라졌다.

항공기는 말레이 반도를 지나 말라카해협 북부에서 레이더에 포착된 뒤 실종됐으며, 라오스~카자흐스탄의 북부 항로와 인도네시아 서부~인도양 남부의 남부 항로 중 하나로 비행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당시 비행기에는 중국인 154명과 호주인 6명, 아울러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프랑스,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러시아, 이탈리아 등 14개 나라의 승객이 타고 있었다.

말레이시아 당국은 실종 여객기가 고의로 항로에서 벗어났을 수도 있다는 내용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말레이시아는 중국 및 호주와 공조해 3년에 걸쳐 호주 서쪽 인도양에서 수색 작업을 펼쳤다. 2018년에는 미국 해양탐사업체 오션인피니티가 나서 재수색했지만 동체와 블랙박스를 발견하지 못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선 앤서니 로케 말레이시아 교통 장관도 최근 국적 항공기 실종 사건에 대한 수색 작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로케 장관은 오션인피니티와 수색 작업에 대해 논의한 후 호주 정부와도 공조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yu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