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팔길 잘했네!” 자사주 받은 SK하이닉스 직원들, 연휴 끝나도 웃었다 [난 누구, 여긴 어디]

2024. 3. 4. 17: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하이닉스 자사주가 직원들에게 보너스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적자에도 1인당 15주씩 자사주를 지급했다.

SK하이닉스는 2022년분 PS(초과이익분배금)를 지급하기 앞서 PS의 최대 50%를 자사주로 선택해 보유하는 '주주 참여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PS가 지급된 지난해 2월 3일 당시 SK하이닉스의 주가는 9만2200원(종가)으로, 지금 가격의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4일 신고가 경신
지난달 29일 자사주 보너스 받은 직원들
단숨에 수익률 7%↑…쾌재
곽노정 대표, “3년 내 주가 28만원 목표”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솔직히 자사주 보너스 ‘받자마자 팔까’ 생각도 했거든요. 그런데 연휴 끝나기가 무섭게 7%나 올랐어요. 일단은 가지고 있어 보렵니다.(SK하이닉스 재직 중인 최 모씨)

SK하이닉스 자사주가 직원들에게 보너스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적자에도 1인당 15주씩 자사주를 지급했다. 지급 시점은 지난달 29일로 4일 연휴가 끝나자마자 SK하이닉스 주가는 7% 가까이 올랐다. AI 반도체 붐으로 시작된 주가 고공행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SK하이닉스 임직원들은 자사주를 받자마자 약 7%의 이익률을 보게 됐다. 이날 SK하이닉스 주가는 16만6500원에 마감, 전일 대비 6.59% 올랐다. 보너스 격으로 자사주 지급을 결정하고 장외처분을 공시했던 불과 한달여 전의 가격(장외 처분 14만800원)과 비교하면 18% 올랐다.

앞서 SK하이닉스는 2023년 하반기 PI(생산성 격려금)’으로 기본급의 50%와 함께 격려금 200만원 및 자사주 15주를 지급하기로 했다. PI와 격려금 200만원은 지난달 말 지급됐다.

경기도 이천의 SK하이닉스 M16 전경[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 직원들은 쾌재를 부르고 있다. 지난해 SK하이닉스는 연간 기준 7조730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지만, 4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3460억원)에 성공했다. 이번 자사주 및 격려금은 메모리 반도체 업계 불황에도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실적 반등의 신호탄을 알린 것에 대해 직원들의 사기 진작 차원에서 지급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약 1년 전 2022년 성과급 중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받는 옵션을 선택했던 직원들의 경우, 수익률 약 2배를 기록했을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2022년분 PS(초과이익분배금)를 지급하기 앞서 PS의 최대 50%를 자사주로 선택해 보유하는 ‘주주 참여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1년 보유시 매입 금액의 15%를 현금으로 추가 지급하는 혜택도 제공한다고 약속했다. 꽤 파격적인 혜택에 많은 임직원들이 참여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PS가 지급된 지난해 2월 3일 당시 SK하이닉스의 주가는 9만2200원(종가)으로, 지금 가격의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때 PS의 50%를 자사주로 받은 임직원은 무려 80%의 이득을 본 셈이다. 당시 PS는 기본급의 820%로, 연봉의 41%였다.

지난 1월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 ‘SK하이닉스 AI 미디어 컨퍼런스’ 행사장에서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이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SK하이닉스 제공]

주가 상승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도 확고하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달 27일 진행된 임직원 소통행사에서 “3년 내에 주가 28만 원을 목표로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3년 내 시총 200조 목표’와 일맥상통한다. 앞서 곽 사장은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 “각 고객에게 특화된 AI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고객 맞춤형 메모리 플랫폼’을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하며“이를 토대로 3년 내 시가총액을 현재의 2배인 200조원으로 키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이어진 SK하이닉스 주가 랠리는 AI 붐 및 최대 고객사인 엔비디아 상승세에 기인한다.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50%를 차지하며 선두를 지키고 있다. HBM은 AI 서비스에 필수적인 GPU(그래픽처리장치)에 탑재되는 고성능 메모리로,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쌓아 올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렸다.

jakmee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