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합창 대부·국립합창단 초대 단장 나영수 한양대 명예교수 별세

2024. 3. 4. 07: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합창음악의 대부' 나영수 한양대 성악과 명예교수가 별세했다.

1974년 국립가무단의 창단 공연 당시 고인은 판소리 '심청가' 중 '뱃노래'의 편곡을 작곡가 김희조(1920∼2001)씨에게 맡겨 민요 합창곡으로 만들고 '대학생 합창곡 발표회'를 10년간 개최하는 등 한국어 합창곡 600여곡을 발굴, 개발했다.

한국 합창의 기반을 다지고 역사를 만든 고인은 학사 학위만으로 1982∼2003년까지 한양대 성악과 교수로 강단에 선 이례적인 인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즈 보컬리스트 나윤선 부친
 
나영수 한양대 명예교수 [한양대학교 제공]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한국 합창음악의 대부’ 나영수 한양대 성악과 명예교수가 별세했다. 향년 85세.

음악계에 따르면 나영수 명예교수는 지난 2일 2시56분께 분당제생병원에서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1938년 3월12일 만주에서 태어나 함북에서 자랐다. 1949년 겨울 가족과 함께 월남, 대구 경북중·경북고에서 성악을 배운 뒤 서울대 성악과 재학 중 KBS 합창단 창단 멤버로 활동했다. 1962년 국내 최초의 뮤지컬 극단인 예그린 합창단원으로 입단해 활동했고, 1963∼1964년 1년간 서울민속가무단에서 합창단 지휘자의 길로 들어섰다. KBS 합창단 지휘 경력도 있다.

1966년 ‘2차 예그린악단’의 합창 지휘자로 활동할 당시 가사를 말로 낭송하게 한 뒤 이후 노래하는 ‘예그린 창법’을 만드는 등 한국식 합창의 기틀을 닦았고, 국내 최초 뮤지컬 ‘살짝이 옵서예’의 조연 겸 합창 지도를 맡았다. 1970∼1972년 MBC 초대 합창단장을 거쳤고, 1972년 예그린악단이 국립극장 산하 국립가무단으로 바뀌면서 1973년 5월부턴 국립가무단 합창단 지휘를 맡게 됐다. 국립가무단은 1974년 7월 창단 공연을 거쳐 1975년 1월에 정식 창단하는 국립합창단의 효시다.

1974년 국립가무단의 창단 공연 당시 고인은 판소리 ‘심청가’ 중 ‘뱃노래’의 편곡을 작곡가 김희조(1920∼2001)씨에게 맡겨 민요 합창곡으로 만들고 ‘대학생 합창곡 발표회’를 10년간 개최하는 등 한국어 합창곡 600여곡을 발굴, 개발했다. ‘몽금포타령’, ‘새야 새야 파랑새야’, ‘세노야’ 등도 고인의 의뢰로 합창곡으로 태어났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복음성가 중 한곡인 ‘이 믿음 더욱 굳세라’ 등도 고인에 의해 알려졌다. 1976년엔 한국합창총연합회 설립을 주도했고, 3대 회장을 지내며 한국합창제를 열었다.

한국 합창의 기반을 다지고 역사를 만든 고인은 학사 학위만으로 1982∼2003년까지 한양대 성악과 교수로 강단에 선 이례적인 인사다. 국내 합창계 큰 형님 격인 국립합창단 초대 단장을 역임한 데 3대, 7대 단장을 지내며 무려 21년간 단체를 이끌었고, 그 사이 성남·서울·울산시립합창단을 진두지휘했다. 2004∼2006년 울산대 석좌교수로 활동했다. 2013년 이후엔 지방시립합창단 객원 지휘를 맡았고, 지난 1월말 한국합창심포지움에서도 지휘봉을 잡았다. 수상 이력도 많가. 음악공로상(1992), 한국합창대상(1995), 한국뮤지컬대상(1995), 백남학술상(1999), ‘예술문화대상’(2002), 백남상(2017)을 받았다.

유족은 부인 김미정씨와 딸인 재즈 보컬리스트 나윤선·나승렬(사진작가)씨와 사위 인재진(자라섬 재즈페스티벌 총감독)씨, 며느리 민선주(작가)씨 등이 있다. 빈소는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 3호실, 발인 5일 오전 7시, 장지 용인서울공원이다. (031)787-1503.

sh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