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대형병원 병상 없어 ‘발동동’… 강대강 대치 의료파업 코앞

이인엽 기자 2024. 3. 3. 18:34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의사 4만여명 총궐기대회... 인천시의사회 소속 300여명도 참석
市 “이탈 전공의들 빠른 복귀 촉구... 미복귀시 불이행 확인서 발부 방침”
의대정원 증원 및 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 총궐기대회 여의도에서 개최된 가운데 3일 인천시 한 대학병원을 찾은 시민이 응급실로 들어서고 있다. 조병석기자

 

인천을 비롯해 전국의 의사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3일 서울 여의도에서 대규모 규탄 집회 등 집단 행동에 나섰다. 지역 안팎에선 의사가 근무지를 벗어나는 등 의료대란의 현실화를 우려하고 있다.

인천시의사회 등에 따르면 시의사회 소속 의사 300여명은 이날 ‘의대정원 증원 및 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 총궐기대회’에 참석했다. 집회에는 전국의 2만5천여명의 의사들이 함께했다.

이들은 전세버스 4대에 나눠타고 인천에서 함께 이동했으며, 서울에 사는 일부 회원들은 각자 따로 집회에 참석했다. 김인성 시의사회 사무처장은 “인천 종합병원 소속 전공의들과는 따로 연락하지 않았다”며 “의사회 소속 의사들끼리 일단 집회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의사들은 이날 의대 증원 2천명 확대를 비롯해 혼합진료 금지 등 ‘필수의료 패키지’의 전면 백지화를 요구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정부는 의사가 절대로 받아들이기 힘든 정책을 ‘의료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일방적으로 추진한 만큼, 지금이라도 조건 없는 대화에 나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공의와 비대위 누구도 의료의 파국을 조장하거나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날 의사들의 집단 행동 등으로 인하대병원의 경우 응급전용중환자실을 비롯해 소아응급전용중환자실, 심장내과중환자실 등의 여유 병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천대길병원도 흉부외과중환자실과 신경외과중환자실 등 병상이 없어 추가 환자 발생시 입원 등이 불가능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후 4시 기준 인천 대형병원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은 전혀 없다. 인천의 전체 전공의 540명 중 456명(84.4%)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344명(75.4%)이 출근하지 않았다. 미출근자는 병원별로 길병원 131명, 인하대병원 83명, 인천성모병원 63명, 국제성모병원 41명, 인천의료원 10명, 인천사랑병원 8명, 인천세종병원 2명, 나은병원 4명, 한길안과병원 2명 등이다.

여기에 인하대학교와 가천대학교 등 인천지역 의대 학생들의 집단 행동도 이어지고 있다. 인하대의 경우 지난달 21일부터 수업을 거부하며 현재 재학생 252명 중 238명(94.4%)이 휴학계를 제출했다. 가천대 의대도 내부적으로 동맹휴학 등을 논의 중이다.

현재 인천시 등 보건 당국은 미복귀한 전공의들에게 2차 업무개시 명령을 내리는 등 전공의들이 현장으로 빠르게 복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공의들의 복귀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보건복지부 지침에 맞춰 불이행 확인서를 발부하는 등의 행정절차를 밟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하대와 가천대 등이 4일 교육부에 제출할 의대 증원 신청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29일 전국 40개 의대에 2천명 정원 증원이 첫 적용하는 2025학년도 의과대학 증원 신청 안내 공문을 발송했다. 오는 4일까지 증원 신청을 받아 각 대학의 제출 수요와 교육 역량, 지역의료 및 필수의료 지원 필요성 등을 종합해 3월 말까지 대학별 의대 정원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다.

대한의사협회(의협) 등은 의대증원에 대해 원점에서 재논의할 것을 촉구했지만, 교육부는 ‘기한 내에 신청하지 않는 대학의 의대 정원 증원 신청은 더 이상 받지 않는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각 대학별 의대 정원 확대 수요 조사에서 인하대는 종전 49명에서 100명으로, 가천대는 종전 40명에서 80명으로 증원 수요를 제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의대생들의 집단 행동 때문에 대학 차원에서 의대 정원 증원 신청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다만, 학교의 위상 및 의대 교육의 효율성 등을 고려해 당초 수요 규모보다 조금 줄여서라도 증원 신청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다.

특히 이 같은 인하·가천대의 의대 정원 증원 신청 기피에 따라 인천대를 중심으로 한 공공의대 설립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현재 인구 1만명당 의대정원은 0.59명인데 비해 인천은 0.3명으로 국내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용갑 인천연구원 도시사회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인천의 경우 인구 300만명의 광역시임에도 의료취약지로 분류되고 있으며 현재 인천의 의과대학 입학정원도 89명에 불과하다”고 했다. 이어 “2025학년도에도 의대 증원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면 정부에서 공공의대 필요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인엽 기자 yyy@kyeonggi.com
박귀빈 기자 pgb0285@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