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온스타일, ‘2024 홈리빙페어’ 개최…2024년 봄 리빙 키워드는 H.O.M.E

권이선 2024. 3. 3. 13: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J온스타일은 오는 4∼17일 상반기 홈리빙페어를 개최하고 올봄 리빙 소비 키워드로 'H.O.M.E'를 제시한다고 3일 밝혔다.

'H.O.M.E'은 △High-end or economical (프리미엄 또는 실속) △Organic (친환경 리빙 제품) △Mobile live commerce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Exceptional Tech (혁신기술로 삶의 변혁을 가능케한 제품)의 영문 앞 글자를 조합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J온스타일은 오는 4∼17일 상반기 홈리빙페어를 개최하고 올봄 리빙 소비 키워드로 ‘H.O.M.E’를 제시한다고 3일 밝혔다.

‘H.O.M.E’은 △High-end or economical (프리미엄 또는 실속) △Organic (친환경 리빙 제품) △Mobile live commerce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Exceptional Tech (혁신기술로 삶의 변혁을 가능케한 제품)의 영문 앞 글자를 조합했다.

소비 불황과 경기 침체 장기화로 외부 지출을 아끼려는 경향이 이어지면서 CJ온스타일은 홈퍼니싱∙인테리어∙홈키친 등 집 관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고가 브랜드에 지갑을 여는 고객이 있는 반면 침실·거실·학생 가구 등을풀 패키지로 실속 있게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나는 등 소비 형태가 양극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CJ온스타일은 이번 홈리빙페어에서 까사미아와 에싸, 자코모, 퍼시스그룹, 한샘 등 메가 브랜드부터 알로소, 자리아 등 업계 최초 영입 브랜드까지 2000여개의 브랜드를 선보인다. 홈리빙페어의 취급고(홈쇼핑 회사가 판매한 제품 가격의 총합)는 2022년 50억원에서 지난해 100억원으로 늘었다. 올해 목표 취급고는 200억원이다.

홈리빙페어 기간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는 전년 행사 대비 약 43% 늘렸다. CJ온스타일은 이번 행사 기간 모바일 라방을 60회 이상 편성했다. 타 카테고리에 비해 고가의 제품이 많은 리빙 특성상 더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데다 궁금한 점을 쇼호스트에게 실시간으로 물어볼 수 있어 고객 만족도도 높은 채널이다.

올해 화두인 ‘지속가능성’과 ‘혁신기술’을 반영한 리빙 상품도 소개한다. 프리미엄 이불 브랜드 자리아는 거위 털을 대체한 인공 신소재 ‘프리마로프트’를 적용한 ‘비건 구스 이불’을 업계 최초로 CJ온스타일에서 출시한다.

오석민 CJ온스타일 리빙상품담당 경영리더는 “2024년 집에서 모든 것을 향유하는 시대가 다시 예상되는 만큼 CJ온스타일은 경쟁력 있는 리빙 상품을 조달해 고객의 이목을 사로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