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후 4년간 방치...옛 교육연수원 건물 '흉물' 전락

전동흔 jcn 2024. 3. 2. 04: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울산 대왕암공원 안엔 옛 울산교육연수원 건물이 있습니다.

연수원이 다른 곳으로 옮겨진 이후 4년간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방치되고 있는데요.

미관을 해치는 건 물론 크고 작은 사건도 잇따라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JCN 울산중앙방송 전동흔 기잡니다.

[기자]

깨진 유리창과 합판으로 막아 놓은 출입구.

외벽 페인트가 벗겨지고 식물에 뒤덮인 이 건물들은 일제강점기 이후 이종산 선생이 설립한 방어진수산중학교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옛 울산교육연수원이었던 곳입니다.

지난 2020년 울산교육연수원이 새로운 장소로 이전하면서 옛 연수원 부지에 호텔 건립이 논의됐지만 공원법상 관광호텔 건립이 불가능해 무산됐습니다.

지난 2022년 울산시립미술관 전시관으로 활용되기도 했지만 아직까지도 제대로 된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4년째 낡고 빈 건물로 방치되면서 공원 미관을 해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채복태 / 울산 동구 대송동 : 산책로에 자주 다니는데, 이 건물이요. 미관상 많이 안 좋아요. 또 유리창도 깨지고. 그래서 철거를 했으면 좋겠는데...]

다시 고쳐 쓰려고 해도 예산이 발목을 잡습니다.

동구청이 지난해 1월부터 석 달간 구조 검토 용역을 실시한 결과 바닥, 기둥, 보 전부 안전에 문제가 있어 안전등급 C등급을 받았고 보강을 하려면 100억 원이 넘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옛 울산교육연수원 부지의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는 사이 비어있는 건물에선 크고 작은 사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고 이종산 선생의 유가족이 고인의 뜻에 따라 국가에 기부채납한 교육시설이 우범지대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문희 / 울산 동구 방어동 : 여기가 역사적인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방치된 상태라서 이곳이 우범화 될까봐 걱정이 많이 됩니다.]

독립 이후 교육을 위해 세워진 건물이 흉물로 전락하고 있는 상황.

동구청은 일단 옛 울산교육연수원 건물을 철거하기 위해 울산시에 관련 건의를 할 계획입니다.

JCN뉴스 전동흔입니다.

영상취재;박민현

그래픽;이슬기

YTN 전동흔 jcn (yhk55522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