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폭락' 벼랑 끝 폐지 수집 노인들

임경섭 2024. 3. 1. 21: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폐지를 주워 생계를 유지하는 노인들의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폐지 값이 폭락한 데다 수거량도 줄어 한 달 평균 수입이 16만 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지 줍는 노인들이 벼랑 끝으로 몰리면서 각 지자체가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정부의 실태조사 결과 전국 폐지수집 노인은 1주일 평균 6일을 일하면서도 월 수입이 15만 9천 원에 그쳤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요즘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폐지를 주워 생계를 유지하는 노인들의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폐지 값이 폭락한 데다 수거량도 줄어 한 달 평균 수입이 16만 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지 줍는 노인들이 벼랑 끝으로 몰리면서 각 지자체가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임경섭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일주일 넘게 이어지던 비가 그치자, 정쌍섭씨는 폐지를 줍기 위해 이른 아침부터 거리로 나섰습니다.

골목길과 거리를 누비며 쓸만한 폐지는 모두 주워 담습니다.

오랜만에 찾아온 맑은 날이 반갑기만 정 씨,

비에 젖은 종이는 무겁고 제값을 받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정쌍섭 / 광주 금호동
- "비나 눈이 오면 이제 못할 때도 있지. 해갖고 와서 (가격을) 까고 저기서 까고 그러면 나는 죽어라고 갖고 와봐야 힘만 들지."

고물상에 들러 한 짐 풀어놓고 또다시 거리로 나선 지 1시간쯤,

수레가 제법 찼지만 표정은 밝지 않습니다.

▶ 스탠딩 : 임경섭
- "상무지구를 한 바퀴 돌고 수거한 폐지입니다. 이 정도 양이면 리어카까지 무게만 80kg이 넘지만 팔아도 2천 원도 받기 어렵습니다."

지난해 이맘때쯤 폐지 가격은 1kg에 100원이 넘었습니다.

그런데 1년 만에 6~70원까지 떨어지면서 수입이 크게 줄었습니다.

또 하루종일 길거리와 골목을 누벼도 수거하는 폐지량은 이전만 못합니다.

경기 침체로 명절 선물이 줄고, 택배량이 감소하면서 폐지 수거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정쌍섭 / 광주 금호동
- "없으면 하루 종일 돌아다녀도 없으면 어쩔 수 없어. 한 번에 5~6천 원, 그리고 2천 원도 받고 3천 원도 받고.."

▶ 싱크 : 박민철 고물상 사장
- "싣고 오면 항상 2만 원 3만 원씩 한 번에 받아 가셨는데 단가가 계속 떨어지다 보니까..신나는 표정도 없으시고 조금 얼굴 표정에서 많이 드러나죠."

정부의 실태조사 결과 전국 폐지수집 노인은 1주일 평균 6일을 일하면서도 월 수입이 15만 9천 원에 그쳤습니다.

폐지 줍는 어른신들의 사정이 갈수록 어려워지면서 지자체들이 일자리 연계는 물론 현금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윤정민 / 광주 서구의원
- "조례로 만들어서 현금 지원하게끔 거기까지 얘기가 된 상태이니..예를 들어서 어르신들이 5천 원어치를 주웠다 그러면 5천 원 정도를 보장해 주는.."

폐지를 주워 생활비를 대며 고단한 삶을 이어가는 노인들에게 뒤늦게나마 사회 안전망이 다가가고 있는 셈입니다.

KBC 임경섭입니다.

#폐지 #고물 #보건복지부 #노인

Copyright © kbc광주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