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351> 아침에 우는 까치가 밉지 않다는 당나라 시인 이단

조해훈 시인·고전인문학자 2024. 2. 28.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달이 지고 별빛도 희미해져 동이 트려는데(月落星稀天欲明·월락성희천욕명)/ 외론 등불 가물거리고 꿈조차 이룰 수 없네요.

날이 밝아 문 열고 바깥에 나가보니 까치가 반갑게 운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일이 생긴다는데, 설령 그 말이 사실이 아니라 하더라도 희망을 가져볼 수 있어 밉지 않다는 말이다.

아침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침에 반갑게 우는 까치가 밉지 않네

- 不忿朝來鵲喜聲·불분조래작희성

달이 지고 별빛도 희미해져 동이 트려는데(月落星稀天欲明·월락성희천욕명)/ 외론 등불 가물거리고 꿈조차 이룰 수 없네요.(孤燈未滅夢難成·고등미멸몽난성)/ 겉저고리 입고 문밖으로 나가 니(披衣更向門前望·피의갱향문전망)/ 아침에 반갑게 우는 까치가 밉지 않네요.(不忿朝來鵲喜聲·불분조래작희성)

위 시는 당나라 시인 이단(李端·?~?)의 ‘여인의 마음’(閨情·규정)으로, 그의 문집인 ‘이단시집(李端詩集)’에 들어있다.

여인은 임을 기다리느라 날이 샐 때까지 잠을 이루지 못했다. 날이 밝아 문 열고 바깥에 나가보니 까치가 반갑게 운다. 혹시 그리운 임이 오실 것인가. 여인의 간절한 마음을 그리는 시이다. 마지막 행에는 ‘그리운 임이 오시려나?’는 내용이 함축돼 있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일이 생긴다는데, 설령 그 말이 사실이 아니라 하더라도 희망을 가져볼 수 있어 밉지 않다는 말이다. 그만큼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마음이 절실함을 나타낸다.

조선 선조 때 여류 시인 이옥봉(李玉峯)도 이단과 같은 제목인 ‘규정(閨情)’이란 시에서 비슷한 심정을 드러낸다. “약속을 하시고선 어찌하여 늦으시나?(有約來何晩·유약래하만)/ 뜨락의 매화가 시들고 있는 때인데요.(庭梅欲謝時·정매욕사시)/ 나무 위에서 까치 우는 소리 듣기만 해도(忽聞枝上鵲·홀문지상작)/ 부질없이 거울 보며 눈썹 그린답니다.(虛畵鏡中眉·허화경중미)”

꽃이 피면 오시겠다던 임이 오시지 않는다. 매화꽃이 다 지기 전에는 오셔야 할 텐데. 저 꽃마저 지면 영영 안 오실 것만 같아 마음이 바짝바짝 탄다. 여인은 꽃망울이 부풀어 터지기를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른다. 이제는 임이 오시기도 전에 꽃이 시들까봐 가슴이 조마조마한다. 아침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고 했다. 여인은 까치 소리가 날 때마다 행여나 싶어 거울 앞에 앉아 눈썹을 고친다. 하지만 헛손질이 잦아질수록 부질없음에 불안이 깊어만 간다.

어제 아침에 일어나니 전봇대 위에서 까치가 “까악 ~ 까악” 울어댔다. 까치 소리 들어본 지 오래된 것 같은데 ‘무슨 좋은 일이 생기려나?’ 하는 기대감에 마음이 환해졌다. 봄의 생명력으로 만물이 꿈틀대는 때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