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관 매출 1000억원 시대 고급화 통했지만 콘텐츠 ‘빈곤’

송은아 2024. 2. 27. 20: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수상영 먹거리 창출 팔걷은 극장가
OTT 공세에 특별관 적극 확대 움직임
입체영상·음향 제공… 비싸도 관객 발길
‘아바타’ 등 빼면 대부분 공연실황 ‘한계’
할리우드 대작 ‘듄-파트2’ 등 수요 기대

“특별한 ‘영화’입니다. 꼭 영화관에서 보세요. 아이폰 같은 거로 보면 별로입니다.”

영화 ‘듄-파트2’의 하코넨 남작을 연기한 스텔란 스카스가드는 지난 21일 서울 영등포구 한 호텔에서 열린 내한 기자회견에서 관객에게 이렇게 당부했다. 영화 ‘파묘’의 장재현 감독도 지난 22일 인터뷰에서 “보통 감독들은 다른 (감독의) 작품을 그리 응원하지 않는데 요즘은 (영화산업이 어려워) 다 응원한다”며 ”그래서 한국영화는 (일부러) 극장 가서 본다”고 했다.

해외 배우가 특별히 당부하고, 영화감독이 일부러 ‘동료’의 작품을 챙길 만큼 극장의 위기가 여전하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주문형비디오(VOD)의 공세에 티켓값 상승까지 맞물려 어려워지자 영화관들은 최근 2∼3년간 고급화 전략을 밀고 있다. 실제 지난해 한국영화의 특수상영 매출액은 37% 뛰었다. 올해도 주요 극장들은 특별관을 늘리거나 서비스를 강화하는 추세다. 특히 오는 28일 할리우드 대작 ‘듄-파트2’가 개봉함에 따라 특수관 수요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특수상영 매출 증가…콘텐츠는 한계

27일 영화업계에 따르면, 특별관은 광활하고 선명한 스크린, 입체 영상·음향, 바람·안개·진동 효과처럼 집에서는 맛볼 수 없는 기술을 접목한 상영관이다. 일반관보다 1000∼9000원 비싸다. 각 멀티플렉스는 울트라 4DX(CGV), 돌비 시네마(메가박스), 수퍼플렉스(롯데시네마) 등의 특별관을 선보이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지난 20일 낸 ‘2023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에 따르면 지난해 특별관 매출은 1000억원대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특수상영(4D·아이맥스·스크린X·돌비 시네마) 전체 매출액은 1124억원으로 전년보다 11.1% 줄긴 했으나 2년 연속 1000억원대를 기록했다. 특히 한국영화 특수상영 매출액은 195억원으로 전년보다 36.9% 증가했다. 

수치만 보면 고무적이지만, 내용 면에서는 콘서트 실황영화가 매출을 견인하는 한계가 보였다. 아이맥스 최고 매출·관객수를 기록한 한국영화는 ‘아이유 콘서트: 더 골든아워’였다. 스크린X 최고 매출·관객수를 가져간 작품도 가수 임영웅의 앙코르 콘서트 실황 ‘아임 히어로 더 파이널’이다. 한국·해외 영화를 합쳐 아이맥스·3D·4D 흥행 1위는 ‘아바타: 물의 길’이었다.
◆영화관들 올해도 고급화 전략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3대 멀티플렉스 브랜드들은 고급화를 생존 전략의 한 축으로 삼고 있다. 영진위에 따르면 특별관을 운영하는 극장수(특수상영·고급좌석관 포함)는 2019년 총 131개에서 지난해 204개로 늘었다. 롯데시네마는 특별관 극장수를 2019년 29개에서 지난해 74개, 메가박스는 같은 기간 37개에서 66개로 늘렸다.

메가박스 관계자는 “특수관에 맞는 흥행작일 경우 특수관 판매율이 일반관보다 높은 경향이 뚜렷하다”며 “같은 영화를 아이맥스·돌비 등 특수관 포맷별로 N차 관람하는 문화도 형성됐다”고 밝혔다. 다른 멀티플렉스 관계자는 “블록버스터처럼 규모가 큰 영화는 특수관이 재미를 두 배씩 끌어 올려준다”고 전했다.

멀티플렉스들은 올해도 특별관을 강화하고 있다. 메가박스는 이달 초 일곱 번째 돌비 시네마인 송도점을 열었다. 또 지난 8일 첫 4D 특별관인 ‘메가 | MX4D’를 코엑스점에 처음 선보였다. 이 특별관은 영화 장면에 따라 15가지 모션 체어와 9가지 상영관 효과가 표현된다. 영화에서 차가 질주하면 좌석이 움직이며 목 뒤에서 바람이 이는 식이다.

CJ CGV의 자회사 CJ 4DPLEX는 기존 ‘4DX 스크린’을 ‘울트라 4DX(ULTRA 4DX)’로 이름을 바꿔 선보인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울트라 4DX는 다면 상영과 오감 체험을 합친 기술이다. CJ 4DPEX 김종열 대표이사는 “기존 4DX 스크린은 4DX와 스크린X의 단순 물리적 결합을 의미했다면, 울트라 4DX는 글로벌 시장에서 시너지 창출과 공격적인 확산에 대한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롯데시네마도 세계 380여곳에서 운영되는 극장 4D시스템인 ‘MX4D’와 손잡고 ‘수퍼|MX4D(SUPER|MX4D)’를 선보였다. 지난해 말 롯데시네마 월드타워, 지난달 초 롯데시네마 수원에 개관했다. ‘수퍼|MX4D’는 진동, 물, 바람, 향기 등 14가지 오감 효과를 제공한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