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명품 도시 용인, 교통망 확충 ‘가속도’ [인사이드 경기]

강한수 기자 2024. 2. 25. 09:3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성~용인~안성 L자형 반도체 벨트 연결
새로운 ‘반도체 고속도로’ 적격성 조사 신청
경강선·서울지하철 3호선 연장 ‘출퇴근 혁명’
지난 1월10일 오전 기흥ICT밸리에서 열린 신년 언론브리핑에서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용인시 교통망 확충에 관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용인특례시 제공

 

미래산업 허브 잇는, 거미줄 도로·철도망

글로벌 반도체 중심 도시를 지향하는 용인특례시의 교통망 확충에 속도가 붙고 있다.

신규 고속도로 등 도로망 계획들이 속속 확정되고 실제 공사로 이어지는 곳도 늘어나고 있다. 시는 변두리 도로까지 신설 및 확장하면서 사업을 다각도로 펼치고 있다.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이후 변화의 물결에 올라탄 용인시가 도시 정체성과 직결되는 도로와 철도 등 제반 시설을 어떻게 조성해 가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봤다.

■ 각종 규제 뛰어넘는 도로망 확충

용인 반도체 산단 조성과 직결되는 도로 인프라 건설이 본격화되고 있다.

수도권의 국도·국지도 개설은 ‘하늘의 별 따기’라는 게 중론이다. 기획재정부의 일괄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를 통과해야만 중앙정부 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데 수도권에선 비싼 토지보상비로 인해 예타 통과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경기도 역시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반영을 위해 24개 사업을 건의했으나 단 한 건도 예타를 통과하지 못한 바 있다.

시는 수도권 도시인데도 지역의 도로 확충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동·남사읍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등 주요 반도체 산단을 연결하는 도로는 국가적으로도 필요하기에 정책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시는 지난해 3월 국토부의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026~2030년)에 노선의 신설 및 확장을 건의했다. 국지도 57호선(마평~모현, 원삼~마평)과 국도 42호선 대체우회도로(남동~양지), 국지도 84호선(이동~원삼), 국도 45호선(이동~남동) 등의 노선이 그 대상이다.

예타 기준의 벽이 높지만 시는 정부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계획에 따라 비용 대비 편익(B/C)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서 이 같은 전략으로 접근했다.

시는 이와 별도로 국가산단 조성 이후의 교통량 폭증에 대비하는 계획을 세웠다.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건의한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주변 연계 도로망 구축(안)을 보면 이 같은 관점에서 시의 구상을 엿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지도 82호선을 대체할 처인구 남사 북리~국가산단~원삼 학일리 구간(15㎞) 신설, 국도 45호선 처인구 이동 송전~남동 구간(8.7㎞) 확장, 지방도 321호선 처인구 남사 봉명~아곡 구간(5.2㎞) 확장 등이다.

국도17호선과 원삼면 반도체클러스터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인 보개원삼로 전경. 용인특례시 제공

■ 반도체 고속도로 추진…삼성전자~국가산단 연결

시는 국토부를 거치는 사업인 ‘반도체 고속도로’ 개설을 추진 중이다.

반도체 고속도로는 반도체 국가산단과 반도체 클러스터를 연계해 이동의 편의를 높이는 중요한 기반 인프라다. 주변에 조성되는 배후도시 생태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화성~용인~안성으로 이어지는 L자형 반도체 벨트를 잇는 새 고속도로가 완성되면 삼성전자 기흥캠퍼스, 이동·남사읍 국가산단, 원삼면 클러스터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13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에 화성 양감~용인 남사·원삼~안성을 연결하는 45㎞의 반도체 고속도로 적격성 조사를 신청했다. 앞서 민간사업자의 제안서가 제출된 바 있는데 조사 결과는 올해 7월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사업은 이상일 시장의 공약이었으며 일반도로가 아닌 고속도로 사업이 이처럼 신속하게 추진되는 건 드문 사례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시는 국도17호선과 원삼면 반도체클러스터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보개원삼로 확장 공사도 진행 중이다. 원삼면 가재월리에서 독성리를 잇는 기존 왕복 2개 차로를 4차로로 확장·포장하는 사업이며 SK하이닉스의 첫 번째 생산라인이 착공되는 2025년 공사를 매듭지을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에는 지역 도로를 반영하고 정부 국가산단 조성에선 시가 필요로 하는 도로망을 구축하려는 양면작전이 전개된 셈”이라며 “어느 방향으로든 용인시의 도로망 확충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커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L자형 반도체 벨트'와 반도체 고속도로. 용인특례시 제공

■ 속도 높여가는 철도망 구축

반도체 도시 조성에 따른 도로망 강화에 탄력을 받은 용인시는 국가철도 및 도시철도 인프라 역시 확충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2023년 제17회 용인시 사회조사’에 따르면 시민들은 가장 필요한 정책과제로 ‘출퇴근 교통환경 개선 및 광역교통망 구축’(42.8%)을 꼽았다.

이처럼 인구 107만의 용인시는 유동인구 비율도 높아 교통난 해소가 절실하지만 이를 해소할 필수 인프라인 철도가 턱없이 부족하다. 분당선과 신분당선이 시내 서부지역 일부를 지나고 있지만 나머지 지역 시민들은 버스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취임 전부터 경강선 연장과 서울지하철 3호선 연장을 강조했던 이상일 시장도 현재 시내 철도망 확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이동·남사읍 국가산단 조성과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등을 통한 새로운 환경 조성의 수요 및 명분이 뚜렷해진 만큼 이를 계기 삼아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국가철도 경강선 연장 노선 유치를 위해 용인시는 경기 광주시와 힘을 합쳤다. 이에 따라 지난 1월22일 경기광주역에서 분기해 에버랜드를 거쳐 이동·남사읍에 이르는 37.97㎞의 새로운 노선안이 공동 용역조사를 통해 마련됐다.

이날 시는 광주시와 함께 경강선 연장 노선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신규 사업으로 반영해달라고 국토부에 건의하는 데 뜻을 모았다.

해당 노선은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반도체 특화 신도시를 통과하는 ‘반도체 국가철도’로 볼 수 있다. 신규 노선안의 비용 대비 편익(B/C)은 0.92로 통상 새로운 철도노선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B/C값의 기준이 0.7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건설 타당성 역시 확보된 셈이다.

지난달 22일 광주시청에서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왼쪽)과 방세환 광주시장이 경강선 연장선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요청하는 공동건의문에 서명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용인특례시 제공

■ 용인, 성남·수원·화성과 3호선 연장 공동 추진

광역철도인 서울지하철 3호선 연장 역시 접근법을 계속해서 수정하고 있다. 시는 성남·수원과의 공동 추진이 뚜렷한 진전이 없자 화성까지 끌어들여 4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전략으로 방향을 바꿔 속도를 높이고자 한다.

지난해 9월 4개 시가 공동 용역에 착수했고 올해 상반기까지 최적의 노선 계획이 수립될 전망이다. 오는 6월 예정된 구성역의 GTX 개통은 지역민들의 서울 진입을 수월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인덕원~동탄선의 용인 구간 공사는 올해 시작될 예정이고 시가 자체 자금을 투입하는 도시철도 연결도 빠르게 진전될 채비를 마쳤다.

동백~신봉선(14.7㎞), 용인경전철 광교 연장선(7㎞) 등 2개 노선이 지난해 12월 제2차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반영됐다. 2월 이후 경기도와 국토부의 협의를 거친 뒤 국토부의 승인이 나면 사업이 추진될 수 있다.

이상일 시장은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들과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 인재들이 용인으로 모여들게 하려면 사통팔달의 교통망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각종 도로의 신설 및 확장 계획을 꼼꼼히 수립했고 철도망 역시 최적의 노선 계획을 찾아가고 있는 만큼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강한수 기자 hskang@kyeonggi.com
송상호 기자 ssho@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