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정 깨진 스마트폰으로 이웃 마을 친구 만나요”

최영권 2024. 2. 23.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제 온라인 수업을 끝내고 학교에서 공부하고 싶어요. 선생님과 친구들을 직접 보며 얘기를 나누는 날이 언제 올까요. 제 친구들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슬퍼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이 24일로 만 2년을 맞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에 사는 초등학교 5학년 소녀 안나(가명·12)는 21일(현지시간) 액정화면이 깨진 스마트폰으로 어렵게 수학 문제를 풀고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 사는 12세 안나의 일상

러 침공받아 피란 갔다 돌아오니
부친 지뢰 폭발로 장애, 생계 걱정
아동 63만명 극도의 궁핍 속 고통
전쟁 2년 동안 1500만명 고향 떠나

2년째 전쟁을 겪는 열두살 안나(가명)가 우크라이나 헤르손에 있는 집에서 작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온라인 수업을 받고 있다. 세이브더칠드런 제공

“이제 온라인 수업을 끝내고 학교에서 공부하고 싶어요. 선생님과 친구들을 직접 보며 얘기를 나누는 날이 언제 올까요. 제 친구들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슬퍼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이 24일로 만 2년을 맞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에 사는 초등학교 5학년 소녀 안나(가명·12)는 21일(현지시간) 액정화면이 깨진 스마트폰으로 어렵게 수학 문제를 풀고 있었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친구는 바로 이웃 마을에 살지만 주변이 온통 지뢰밭이다 보니 실제 만남은 꿈도 못 꾼다. 그저 스마트폰을 통해 소통할 뿐이다.

안나의 어머니 마리나(가명·39)는 “전쟁이 시작된 뒤로 러시아군이 통제하는 마을에서 살다가 2022년 9월 가족과 함께 피란을 떠났다”고 말했다. 수개월 뒤 러시아군이 떠난 고향 마을로 돌아오니 집 전체가 포탄 자국으로 얼룩져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지뢰 폭발 사고로 장애를 얻어 거동이 불편하다. 가족 모두가 하루하루 생계를 걱정해야 한다.

작은 텃밭에서 농사를 짓던 안나의 가족은 지난해 6월 카호우카 댐 붕괴로 마을 전체가 물에 잠겨 그간 키우던 작물을 모두 잃었다. 결국 돈을 마련하고자 키우던 젖소 2마리 가운데 1마리를 내다 팔아야 했다. 나머지 한 마리는 우유를 생산하지 못해 시장에 내놓을 수 없었다. 마리나는 “전쟁 중 소가 큰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안나의 큰오빠는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난 지 오래다. 안나는 전쟁이 하루빨리 끝나 오빠를 다시 만나길 늘 기도한다.

개전 이후 러시아군을 피해 떠났던 우크라이나인들은 대부분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전쟁 전 익숙했던 모든 것을 잃어버렸다. 이날 국제구호단체 세이브더칠드런은 유엔 국제이주기구(IOM) 통계를 분석해 “해외 또는 국내로 피란을 떠났다가 집으로 돌아와 극도의 경제적 궁핍과 신체적 고통, 정신적 후유증을 겪는 우크라이나 아동이 63만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전쟁 전 우크라이나 전체 아동의 12분의1이다.

2022년 2월 24일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뒤로 2년간 1500만명 넘는 사람들이 고향을 떠난 것으로 추산된다.

최영권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