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붙어도 “의대 가는게 답”…자연계 정시합격생 21%가 등록 포기

이용익 기자(yongik@mk.co.kr), 지혜진 기자(ji.hyejin@mk.co.kr) 2024. 2. 21. 23: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자연계 미등록
지난해 88명→올해 164명
대부분 의대로 빠진 듯
“당장은 의대 쏠림 가속화”
“결국 의대 점수 낮아질것”
장단기 전망 극적으로 갈려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없음. [사진 출처=연합뉴스]
2024학년도 대입에서 서울대 자연 계열 정시모집에 합격하고도 등록하지 않은 미등록 인원이 지난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의대에 중복 합격해 이탈한 것이다. 의대가 최상위 인재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의대망국병’을 해결하려면 장기적으로 의사수를 늘리는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종로학원은 21일 서울대 2024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자연 계열 모집 인원 769명 중 164명이 등록을 포기했다고 알렸다. 자연 계열 정시 합격자의 21.3%에 해당한다. 721명을 선발했던 지난해 88명이 이탈했던 것에 비하면 머릿수로는 2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고, 미등록률도 작년(12.2%)보다 10%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반면 인문계열은 434명 모집에 35명만 등록을 포기해 미등록률 8.1%로 작년(14.4%)보다 줄어들었다.

서울대 자연 계열 학과 중 미등록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약학 계열 일반전형으로 63.6%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50%가 넘는 미등록률을 기록한 학과는 의류학과 일반전형(58.3%), 간호대학 일반전형(55.6%), 지구과학교육과 일반전형(50.0%), 통계학과 일반전형(50.0%) 등 5개에 달했다. 지난해 미등록률 50% 이상을 기록한 학과가 한 곳도 없었던 것에 비하면 큰 변화다. 컴퓨터공학부(33.3%) 같은 인기과에서도 적지 않은 숫자가 빠져나갔다.

연세대와 고려대에서도 대기업 계약학과, 컴퓨터과학과 등 자연 계열 상위권 학과를 중심으로 합격자 이탈이 두드러졌다. 연세대 자연 계열 정시 합격자 미등록률은 63.2%로 지난해 47.5%보다 눈에 띄게 늘어 서울대와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고려대는 자연 계열 미등록률이 지난해 34.6%에서 올해 29.8%로 소폭 줄어들긴 했지만 올해부터 정시에서 내신을 반영하는 등 입시 전형에 변화가 있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 계약학과에서 미등록률이 높아지는 등 큰 틀에서는 비슷한 상황이다.

서울대를 포함해 연세대, 고려대까지 총 3개 대학 자연 계열의 미등록 인원은 856명으로 지난해(697명)보다 1.2배 늘었다. 3개 대학의 인문 계열 미등록 인원은 494명으로, 작년(553명)보다 줄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차이가 더욱 크게 느껴진다. 학원가에서는 앞으로 상위 3개 대학조차 정시 모집으로 정원을 맞추지 못해 추가모집을 진행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의대 정원이 2000명 늘어날 경우 의대쏠림 현상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단기 전망과 장기 전망이 정확히 반대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대 자연 계열 교수는 “1학년중 상당수는 반수생인데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2,3학년 학생들도 자퇴나 반수로 나갈 것 같다. R&D 예산 삭감에 이어 이공계에 엄청난 충격파가 몰아닥칠 것”이라 예상했다. 연세대 공과대학장을 맡은 명재민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미등록률이 높아지면 상위권 대학 이공계 합격선이 많이 내려갈텐데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키워야 하는 나라에서 인재 수준 하락은 큰 문제”라고 걱정했다.

다만 이는 과도기적 현상일뿐 장기적으로는 의사 정원을 늘리는 것이 ‘의대 블랙홀’에서 벗어나는 유일 해법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지금 의대를 향한 열망은 인재 배분을 왜곡해 그 결과 산업,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일반적인 노동시장이라면 과도한 쏠림은 공급 과잉으로 이어져 해당 직종의 매력이 낮아져야 정상이다. 의사 시장은 제한된 정원 탓에 들어가기는 어렵지만 일단 들어가면 특권적 지위와 경제적 보상이 보장된다. 그러다보니 의대 입시경쟁이 과열되고 최상위권 인재는 본인 적성과 무관하게 점수에 맞춰 무조건 의대를 지원하는 현상이 생겨난다.

한 학원 관계자는 “미래 직업 전망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가 입시”라며 “의사 수가 늘어 기대수익이 줄면 의대 커트라인이 낮아지고, 그 결과 일부 자연계열 학과 커트라인이 의대보다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최상위 인재는 자연계열로 옮겨가게 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