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빠져나간 대형 병원…응급실 ‘빨간불’, 항암도 밀려

윤솔 2024. 2. 21. 16: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공의들의 진료 거부가 본격화하면서 현장의 의료 공백이 커지고 있다.

서울의 '빅5' 병원(서울아산·서울성모·삼성서울·서울대·세브란스)은 이미 상당수의 수술 일정을 줄였고, 기존에도 과밀했던 응급실에서는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전공의 이탈 규모가 컸던 세브란스병원은 일찌감치 수술 일정을 절반 수준으로 대폭 조정했고,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19일 수술 10%를 줄인 데 이어 전날에도 30%를 줄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공의들의 진료 거부가 본격화하면서 현장의 의료 공백이 커지고 있다. 서울의 ‘빅5’ 병원(서울아산·서울성모·삼성서울·서울대·세브란스)은 이미 상당수의 수술 일정을 줄였고, 기존에도 과밀했던 응급실에서는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21일 서울 주요 대형병원들은 전공의 파업의 여파로 환자들에게 ‘진료가 불가하거나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는 내용의 안내 문자를 보내고 있다. 빅5 병원들은 수술 일정을 적게는 30%에서 많게는 50%가량 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거부로 인한 의료대란이 우려되고 있는 21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이날로 진료 거부 3일차인 서울 세브란스병원은 응급실 앞에서 진료를 거부당한 환자의 보호자와 의료진이 부딪혔다. 복통을 호소하는 딸을 데리고 응급실을 찾은 한 부부는 ‘병상이 가득 찼다’는 말에 항의하다 발걸음을 돌렸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포털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빅5 병원 일반응급실 종합상황판에는 내내 ‘빨간불’(사용 가능한 병상 수 50% 미만)이 켜졌다. 오후 3시 기준 세브란스병원은 병상이 2개, 서울대병원은 13개 부족했고 서울아산·서울성모도 잔여 병상이 10개 이하였다. 

전공의 이탈 규모가 컸던 세브란스병원은 일찌감치 수술 일정을 절반 수준으로 대폭 조정했고,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19일 수술 10%를 줄인 데 이어 전날에도 30%를 줄였다. 서울성모·서울아산병원도 수술을 30% 정도 줄였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거부로 인한 의료대란이 우려되고 있는 21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외래를 찾은 환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뉴스1
강남세브란스병원은 기존 수술방의 약 50%를 운영하면서 응급·중증 수술에 대비하고 있다. 다만 마취과 전공의 등 진료 지원이 필요 없는 수술은 기존과 같이 운영한다고 밝혔다. 

병원들이 수술과 진료 일정을 조정하면서 환자들은 불편을 겪고 있다. 직장암 환자의 딸인 김모(30)씨는 “오는 29일 항암 치료 예약이 3월 중순으로 연기됐다”며 “입원 항암을 외래로 돌릴 수 있는지 문의해 답변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말했다.

백혈병 환자의 어머니인 A씨는 “항암 하는 날이 하필 파업 첫날이라 걱정이 많았다”면서도 전날 치료는 무사히 마쳤다고 말했다. A씨는 “빈자리를 채워 준 교수님들에게 감사하다”며 “어쨌든 이 불안한 상황이 빨리 해결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