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한파에 신탁업계 ‘실적 반토막·신용도 저하’ [투자360]

2024. 2. 21. 08: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탁사 14곳 지난해 순이익 60% 이상 급감
KB·교보는 순손실…당기순익 증가는 3곳 불과
책임준공형 토지신탁 부실화 ‘부메랑’
서울 송파구 한 아파트 단지 상가 공인중개사 사무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부동산신탁사들이 부동산 경기 한파 장기화로 실적과 신용도 위기에 놓였다. 특히 책임준공형 토지신탁 사업 부실로 인해 신용도 훼손과 자금 조달력 저하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2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신탁사 14곳의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 총합은 2491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연간 당기순이익 총합(6426억원)보다 61.2% 급감했다.

KB부동산신탁과 교보자산신탁은 지난해 연간 각각 841억원, 29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양사는 2022년에 각각 677억원, 30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었다. 이밖에 ▷무궁화신탁(-89.3%) ▷코람코자산신탁(-89.1%) ▷대한토지신탁(-55.4%) ▷코리아신탁(-47.0%) ▷우리자산신탁(-46.6%) 등 9개사의 작년 연간 당기순이익도 직전년 대비 급감했다.

14개사 중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늘어난 곳은 대신자산신탁, 한국투자부동산신탁, 한국자산신탁 3곳에 불과했다.

업계는 그동안 신탁사 수익성 제고에 기여했던 책임준공 관리형 신탁 방식의 사업이 부실해지면서 관련 대출채권 손실이 대거 반영된 영향으로 보고 있다.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신탁사별 실적 차이는 주로 대출채권 관련 손실에서 나타났는데, 책임준공 관리형 신탁에서의 대손 반영이 컸다”면서 “이를 중점적으로 수주해온 KB·교보자산신탁의 지난해 순손실 전환이 이를 방증한다”고 했다.

신탁사의 사업 형태는 통상 신탁사가 사업비를 직접 조달해 건물을 짓는 ‘차입형 토지신탁’과 신탁사가 자금 차입에 대한 책임은 부담하지 않고 명목적인 사업시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리형 토지신탁’으로 구분된다.

이중 관리형 토지신탁은 대부분 신탁사가 대주단에 천재지변이나 전쟁 등 불가항력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약정된 기한 내 공사 완료·사용 승인·준공 인가를 받겠다고 약정하는 책임준공확약을 제공하는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이다.

통상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 사업은 담보력이 낮은 오피스텔 등 비(非) 아파트의 비중이 크고, 자체 신용도가 낮은 지역 중소건설사가 시공사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금융사들이 대주단을 구성해 신탁사의 신용을 담보로 시행 주체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차입형 토지신탁에 비해 위험 발생 빈도가 낮기 때문에 신탁사는 그간 적은 자기자본으로도 많은 수주를 따낼 수 있었지만, 지금과 같은 부동산 경기 침체기에는 사업 부실 위험이 커지면서 신탁사들에 큰 압박으로 돌아오게 된다.

실제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신탁사 14개사의 신탁계정대여금은 작년 말 기준 4조9000억원으로 집계, 1년 전(약 2조6000억원)보다 88% 급증했다. 한신평은 “신탁계정대여금은 사업성이 저하된 책임준공 관리형 개발신탁 사업장이나 분양 성과가 저조한 차입형 개발신탁 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한다”며 “신탁사가 사업장에 대여금을 지급하기 위해 외부에서 조달하는 차입부채 규모도 빠르게 늘고 있다”고 했다.

신탁사의 실적 저하는 신용등급 강등과 그에 따른 자본 조달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한신평은 자산총계 기준 업계 1위인 한국토지신탁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기존 ‘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강등했다. 이후 한국토지신탁은 총 1000억원을 모집하는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매수 주문량이 380억원에 그치는 미매각을 겪었다.

최근 연내 금리 인하를 앞두고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회사채가 인기를 끌며 비우량 기업까지 수요예측에서 잇달아 흥행했던 분위기 감안 시, 신탁사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의 심각성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업계는 다른 신탁사로 위기가 확산할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신평은 KB부동산신탁에 대해 “신탁계정대여금 증가와 대규모 대손비용 인식에 따른 자본감소 영향이 일시에 인식되며 부채비율이 200%(작년 말 기준)를 웃도는 상황”이라며 “재무구조가 급격히 저하된 점을 감안해 향후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dingdo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