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Japanese enthralled by Korean rice cakes (KOR)

2024. 2. 19. 08: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It was about Goryeobyeong — "Goremochi" in Japanese — from Kagoshima. The explanation says, "It refers to the steamed cake with sticky rice and red bean paste made by Korean potters who were forcibly taken from Joseon during the Edo period. They used the cake for their ancestral rites at shrines they built while missing home. It is widely known to ordinary people for its delicious taste."

일본 도쿄 긴자 한구석에 신경 쓰지 않으면 무심코 지나칠 법한 자리에 가게 하나가 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fter her love for ddeok made her learn the Korean language, her affection for Korea deepened.

KIM HYUN-YE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There is a shop in a corner of Ginza, Tokyo, that is easy to miss unless you look for it. The shop is more than 400 years old, and the owner and employees are all Japanese. Here, they sell “Goryeobyeong” rice cakes.

The rice cake, which is meant to be eaten with green tea, resembles Korean siru ddeok. I searched for information on Kagoshima’s famous snacks on the the prefecture’s Confectionery Industry Association.

It was about Goryeobyeong — “Goremochi” in Japanese — from Kagoshima. The explanation says, “It refers to the steamed cake with sticky rice and red bean paste made by Korean potters who were forcibly taken from Joseon during the Edo period. They used the cake for their ancestral rites at shrines they built while missing home. It is widely known to ordinary people for its delicious taste.”

I had forgotten about the Goremochi for a while, but a letter reminded me of this rice cake. Fourty-six-year-old Yumi Nohara recently published a book on Korean ddeok. When stores selling Japanese rice cakes with sweet soybean paste are crowded, why is she publishing a book on Korean ddeok in Japan? I became very curious about the book, as ddeok has a long history in there but never got much attention.

On the first day of the Lunar New Year holiday in Korea, I met her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Tokyo. She took a container out of the bag. Freshly steamed siru rice cake looked quite pretty. “It’s been 13 years since I started making Korean ddeok.”

Her connection with ddeok began when she went into a “store with a steamer where white steam came out” in Tokyo in 2009, when she was working as a barista. After tasting pumpkin seolgi, she fell in love with the simple taste she had never had before, and she got into other varieties of Korean ddeok.

Whenever she had free time, she started a ddeok journey, visiting various parts of Korea to enjoy local specialties. After her love for ddeok made her learn the Korean language, her affection for Korea deepened. Now, she is preaching Korean ddeok to her students. “Korean ddeok seems to symbolize happiness and the happiness of sharing. Koreans eat it for weddings, birthdays, or when they move to other places. The two countries’ past will not change, but I hope we can share ddeok and get along.”

Starting to like something from a foreign country without prejudice, she learned about the country and understood it sincerely. In addition to Korean dramas and music, these little things are achieving great things that no politician or power group could do.

나라님도 못한 것김현예 도쿄 특파원

일본 도쿄 긴자 한구석에 신경 쓰지 않으면 무심코 지나칠 법한 자리에 가게 하나가 있다. 올해로 4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곳으로 주인도 일본인, 직원들도 모두 일본인인 이 가게에선 ‘고려병(餠)’이란 이름의 떡을 판다. 녹차와 곁들여 먹는데, 시루떡 형태로 묘한 그리움마저 불러일으킨다. 호기심이 동해 이리저리 검색하다 가고시마현 과자공업조합이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가고시마의 유명 과자 소개를 발견했다. 가고시마의 고려병에 대한 것으로 고려병 옆에 ‘고레모치’란 음을 달았다. ‘에도시대에 한국 고려에서 끌려온 도공들이 고향을 그리며 신사를 세우고 제를 지낼 때 찹쌀과 팥앙금으로 쪄낸 과자. 맛이 좋아 서민들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서설이 길었다. 까맣게 잊고 지내던 이 고려 떡을 떠올리게 된 건 순전히 한 통의 편지 때문이었다. 최근 한국 떡에 대한 책을 출간하게 된 노하라 유미(野原由美·46)다. 달콤한 팥앙금이 많이 든 일본 떡을 파는 가게엔 늘 손님이 북적이는데, 그런 일본에서 한국 떡 책을 낸다고? 일본과 오랜 인연이 있지만 그간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던 한국 떡이 책으로도 나온다니 궁금하기 짝이 없었다. 설 연휴가 시작되던 지난 9일 주일 한국문화원에서 그를 만났다. 자리에 앉자 가방에서 통을 하나 꺼낸다. 갓 쪄온 시루떡이 고운 자태로 담겨있다. “제가 한국 떡을 만들기 시작한 지13년 됐으니까 이 떡은 사람으로 치면 중학생의 맛이겠죠? 고등학생의 맛, 어른의 맛으로 올려 나갈 거예요.”

바리스타로 일하던 지난 2009년 도쿄에서 우연히 ‘하얀 증기가 올라오는 찜기가 있는 가게’에 들어간 것이 인연의 시작. 이곳에서 호박설기를 처음 맛본 뒤 지금껏 한 번도 맛본 적 없는 소박한 맛에 반해 그길로 감자떡에 바람떡까지 한국 떡에 빠졌다. 틈이 나면 한국을 찾아 지방을 돌며 특유의 떡을 맛보는 떡 여행도 시작했다. 떡이 좋아 한글을 배웠고, 그 덕에 한국에 대한 애정마저 깊어졌다. 이젠 학생들에게 한국 떡을 가르치는 전도사 역할도 자처하고 있다. “한국 떡은 행복을 상징하는 것 같아요. 서로 나눠 먹는 행복이요. 한국인들은 이사나 결혼식, 생일에도 떡을 먹잖아요? 두 나라의 과거는 바뀌지 않겠지만, 서로 떡을 나눠 먹으며 사이 좋게(友好) 지내면 좋겠어요.”

한 나라의 무언가를 선입견 없이 좋아하게 되는 것에서 시작해 그 나라를 알게 되고, 더 나아가 진심으로 이해하게 되는 것. 드라마나 노래 뿐만이 아닌, 일본에서 마주치는 ‘한국 문화’로 통칭되는 소소한 우리의 것들은 나라님도 그 어떤 정치인이나 권력집단도 못해낸 위대한 일들을 지금도 이뤄내고 있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