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관리 엉망… 인천 공립박물관 절반이 ‘낙제점’

황남건 기자 2024. 2. 18. 11:3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물 확보 뒷전… 예산도 ‘제자리’
짜장면·개항박물관엔 직원 1명뿐
14곳 중 7곳 문체부 인증 못 받아
市 “효율적 내실화 대안 찾을 것”
문화체육관광부가 전국 공립 박물관을 대상으로 인증평가를 한 결과 인천지역 14곳 중 7곳이 평가인증을 받지 못해 박물관 운영·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인천 공립박물관 14곳 중 49.3점으로 최하점을 받은 인천 중구의 짜장면 박물관과 박물관 내부 전시공간에 '전시물 교체로 위해 준비중' 이란 문구가 적혀 있다. 조병석기자

 

인천 짜장면박물관 등 공립박물관 2곳 중 1곳은 평가인증조차 받지 못할 정도로 운영·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인천시의 박물관 콘텐츠 확보 및 질을 높이기 위한 사업 예산은 고작 2억원대에 불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8일 시에 따르면 시립박물관과 검단선사·한국이민사박물관을 비롯해 강화역사·강화전쟁·강화자연사·인천개항·짜장면·수도국산달동네·부평역사·녹청자박물관 등의 공립박물관이 운영 중이다. 또 영종역사관, 한국근대문학관 소래역사관 등 인천에는 모두 14곳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립박물관의 운영·관리가 부실하다.

현재 인천의 박물관 1곳당 평균 소장자료가 7천240개에 그친다. 이는 서울(3만6천479개), 대구(2만3천474개)의 3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날 찾은 짜장면박물관 전시장 한편은 텅 빈 채 ‘전시물 준비 중입니다’라는 문구가 걸려 있다.

또 이들 박물관 등의 직원도 1곳당 평균 5.77명으로 턱없이 적다. 서울(22.18명)의 4분의1 수준이고, 부산(11.36명)·대구(10.88명)의 절반 수준이다.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인력은커녕, 안내 등을 할 인력도 부족하다. 이날 짜장면박물관과 개항박물관에는 안내 등을 하는 상주 인력이 1명만 근무 중이다.

이 때문에 문화체육관광부가 전국 공립박물관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한 결과, 짜장면박물관을 비롯한 인천의 공립박물관 7곳(50%)은 아예 평가인증조차 받지 못했다. 문체부의 각종 기준에서 평균 70점 이상을 받아야 평가인증을 받을 수 있지만, 모두 점수 미달로 평가인증을 받지 못한 것이다.

짜장면박물관은 49.3점, 개항박물관 51.6점, 강화전쟁박물관 57.1점, 강화자연사박물관 61점, 소래역사관 63.5점, 영종역사관 68.3점, 강화역사박물관 69.1점 등 모두 낙제점이다.

이런데도 시가 박물관 콘텐츠 확보에 투입하는 예산은 제자리걸음이다. 시는 지난해 1억4천400만원을 투입했고, 올해 2억2천400만원을 쓸 예정이다.

특히 시는 이 같은 예산을 통해 공립박물관 등이 각종 체험 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감콘텐츠 제적 및 체험구역 조성’ 사업만 하고 있을 뿐, 전시품(유물) 확보 등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이 밖에 인천의 공립박물관들이 인증평가에서 관람객 확보와 지역사회 협력 강화 등의 분야에서 매우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도, 이를 개선할 자체평가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신일기 인천가톨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장은 “공립박물관은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색깔을 보여주고, 때론 주민들의 쉼터로도 쓰인다”며 “하지만 인천은 투입 예산 등이 적어 운영이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인천의 특징을 살린 좋은 유물 등 콘텐츠를 많이 확보하고, 이를 잘 운영할 인력을 확충하는 등 박물관의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립박물관의 개선점을 찾기 위해 자체평가 지표를 마련하겠다”며 “운영 내실화를 이뤄낼 효율적인 대안을 찾고, 지속적인 추가 예산 확보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황남건 기자 southgeon@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