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 명 구독' 유튜버 미스터비스트 연수입은?..."부자 아냐"

윤도진 2024. 2. 16.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에 2억 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미국 유튜버 미스터비스트(MrBeast)가 연간 9천억 원 안팎의 수입을 올리면서도 자신은 아직 부자가 아니며, 이 돈을 모두 콘텐츠 제작 등에 재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어제(15일,현지시간) 미 시사주간지 타임의 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본명이 지미 도널드슨(25)인 그는 연간 자신의 수입이 약 6억∼7억 달러(약 7천992억∼9천324억 원)라고 거리낌 없이 말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타임지 '비디오 마법사' 인터뷰…"버는 돈 모두 재투자"
고교 야구선수로 뛰다 크론병 진단 받고 유튜브 전념
미스터비스트 유튜브 동영상 섬네일 / 사진=미스터비스트 유튜브 채널 캡처

전 세계에 2억 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미국 유튜버 미스터비스트(MrBeast)가 연간 9천억 원 안팎의 수입을 올리면서도 자신은 아직 부자가 아니며, 이 돈을 모두 콘텐츠 제작 등에 재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어제(15일,현지시간) 미 시사주간지 타임의 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본명이 지미 도널드슨(25)인 그는 연간 자신의 수입이 약 6억∼7억 달러(약 7천992억∼9천324억 원)라고 거리낌 없이 말했습니다.

하지만 도널드슨은 자신이 부유하지 않다면서 "우리는 버는 돈을 모두 재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나는 우리가 성공할 것이라고 믿으면서 바보 같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모든 것을 재투자했다"며 "그리고 그것은 통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타임지는 그의 동영상은 대부분 대규모 세트를 매번 맨땅에서 새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고 전했습니다. 15분짜리 영상을 만들기 위해 1만 2천 시간 동안 촬영할 정도로 장시간의 노력이 투입되기도 합니다.

'미스터비스트'로 알려진 지미 도널드슨(오른쪽에서 두 번째) / 사진=연합뉴스

그는 이런 파격적인 영상으로 구독자 수는 2억 3,900만 명을 달성했습니다.

최다 조회수를 기록한 것은 2년 전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모방해 촬영한 영상입니다. 상금 45만 6천 달러(약 6억 원)를 걸고 일반인들을 모아 진행한 이 게임 영상은 조회수가 현재까지 5억 7천만 회에 달합니다.

타임지는 그를 "비디오 마법사"로 지칭하면서 "자녀가 없는 30세 이상의 사람 중에는 그의 이름을 들어본 경우가 별로 없겠지만, 그는 아마도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사람일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도널드슨은 고교 시절 촉망받는 야구선수였으나, 크론병(소화기관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 진단을 받고 경기와 훈련을 계속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운동선수로서 더는 꿈을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이 분명해지자 그는 동영상 제작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그는 13세에 첫 번째 채널을 시작했고, 이듬해에 다시 연 두 번째 채널이 성공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도널드슨은 대규모 자선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일각에서는 그가 "근본적인 불평등을 해결하는 대신 영웅처럼 보이기를 원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이런 비판이 아프다고 인정하면서도 자선사업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아이들이 '오, 멋지다'라고 말할 수 있는, 존경할 만한 사람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며 "술을 마시거나 마약을 하는 대신 따를 수 있는 본보기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도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olooppy@naver.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