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시다[한성우 교수의 맛의 말, 말의 맛]

2024. 2. 16. 11: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린 손주가 할머니께 '할머니, 빨리 자셔요'라고 했다면 손주는 말을 잘한 것일까? 김삿갓이 가게에 가서 '이게 무엇이오?'라고 물었더니 '잣이오'란 대답을 듣고 값도 안 치르고 냉큼 먹었다는 것이 이해가 되는가? 손주가 잠자리에서 한 말이라면 '주무세요'라고 해야 할 말을 잘못 한 것이겠지만, 밥상머리에서 했다면 대단한 어휘력이다.

김삿갓의 일화 속 '잣이오'의 발음이 '자시오'이니 이 단어를 아는 이라면 이 일화도 금세 이해가 될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린 손주가 할머니께 ‘할머니, 빨리 자셔요’라고 했다면 손주는 말을 잘한 것일까? 김삿갓이 가게에 가서 ‘이게 무엇이오?’라고 물었더니 ‘잣이오’란 대답을 듣고 값도 안 치르고 냉큼 먹었다는 것이 이해가 되는가? 손주가 잠자리에서 한 말이라면 ‘주무세요’라고 해야 할 말을 잘못 한 것이겠지만, 밥상머리에서 했다면 대단한 어휘력이다. 김삿갓의 일화 속 ‘잣이오’의 발음이 ‘자시오’이니 이 단어를 아는 이라면 이 일화도 금세 이해가 될 것이다.

음식을 섭취하는 행위는 ‘먹다’로 대표되지만 높임법이 발달한 우리말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잡수시다’나 ‘잡숫다’는 가장 높여야 할 대상에게 쓸 수 있다. ‘자시다’ 역시 이와 같은 등급인데 더 예스러운 표현이어서 손주가 이 말을 썼다면 애늙은이 취급을 받을 것이다. ‘들다’ 또한 음식을 목적어로 삼으면 높임의 뜻이 더해진다. 이렇게 높임의 용도로 대체할 단어가 있다 보니 ‘먹다’를 높이기 위해 ‘먹으시다’를 쓰지는 않는다.

임금과 같이 특별히 더 높여야 할 대상에게는 ‘젓수시다’를 쓰기도 했다. 임금의 밥상은 따로 ‘수라’라고 불렀으니 먹는 행위 자체에 이런 표현을 쓰는 것도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어느 누구에게도 이 말을 쓰지 않는다. 반대로 먹는 것을 비하할 때는 ‘처먹다’를 쓸 수는 있지만 사람에게 써선 안 될 말이다.

높임의 등급이 복잡한 것도 모자라 이렇게 다양한 어휘로 높임을 표현해야 하는 것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으로 상대에 대한 존경의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런데 ‘자실’ 주체는 늘어나는데 ‘먹을’ 주체는 줄어드는 현실은 걱정스럽기 그지없다. 어르신들이 자실 것을 젊은이들이 오롯이 감당해야 하는 것도 문제다. 자실 분보다 ‘자셔요’라고 말할 사람이 더 많도록 유지하려는 노력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다.

인하대 한국어문학과 교수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