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판 위키, 가짜정보 지적에 "독도, 한국에 속해" 정정

최인영 2024. 2. 13. 21: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의 인터넷 백과사전 '루비키'(ruwiki)가 독도를 분쟁 지역이라고 설명했다가 잘못된 정보라는 지적을 받고 "독도는 한국에 속한다"고 정정했다.

지난달 31일 독도를 검색했을 당시에는 '리앙쿠르' 페이지가 나왔고 '리앙쿠르 또는 독도 또는 다케시마는 일본해 서부에 있는 작은 섬들', '일본과 한국이 이 섬들에 대한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돼 있었다.

그러자 루비키는 제목을 '리앙쿠르'에서 '독도'로 수정하고, 분쟁 중이라는 설명도 없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목도 리앙쿠르→독도 수정…서경덕 교수 "독도=한국땅 인정한 것"
리앙쿠르에서 독도로 제목이 바뀐 루비키 독도 페이지 [루비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러시아의 인터넷 백과사전 '루비키'(ruwiki)가 독도를 분쟁 지역이라고 설명했다가 잘못된 정보라는 지적을 받고 "독도는 한국에 속한다"고 정정했다.

13일(현지시간) 루비키에서 '독도'를 검색해보면 '독도 섬들' 페이지가 나온다.

첫 문단에는 '독도(일본어 다케시마)는 일본해(한국어 동해) 서쪽에 있는 작은 섬들의 집단', '이 섬들은 한국 측에 속하며 일본과 북한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는 설명이 적혀 있다.

지난달 31일 독도를 검색했을 당시에는 '리앙쿠르' 페이지가 나왔고 '리앙쿠르 또는 독도 또는 다케시마는 일본해 서부에 있는 작은 섬들', '일본과 한국이 이 섬들에 대한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돼 있었다.

이러한 설명은 '독도는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이며 독도와 관련한 영토분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에 반하는 것이었다.

루비키가 독도의 영어 이름으로 소개한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는 독도를 발견한 프랑스 포경선 이름을 딴 것으로, 한국의 독도 영유권을 부정하는 의미에서 일본 정부가 주로 사용하는 용어다. 독도는 영어로 'Dokdo'로 표기한다.

연합뉴스의 오류 지적과 더불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도 루비키 측에 관련 정보를 바로잡아 달라고 촉구하는 이메일을 보냈다. 서 교수는 독도가 한국 영토이며 일본해가 아닌 동해가 옳은 명칭이라고 소개하는 영상도 전달했다.

그러자 루비키는 제목을 '리앙쿠르'에서 '독도'로 수정하고, 분쟁 중이라는 설명도 없앴다.

오류 지적을 받았던 루비키의 기존 '리앙쿠르' 페이지 [루비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 교수는 "제목 자체가 '독도'로 바뀐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며 "괄호 안에 다케시마와 리앙쿠르가 아직 남아있지만, 본 제목으로 독도가 빠져나온 것은 아주 잘된 일"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첫 번째 문단 내용이 '이 섬들은 한국 측에 속한다'고 바뀐 것은 독도가 한국 땅임을 인정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처음에는 일본해가 단독 표기돼 있었으나 지금은 괄호를 치고 동해를 병기한 것도 의미 있다"면서 "세부적으로 고칠 부분이 아직 남아 있지만 가장 중요한 내용이 수정돼 정말 다행"이라고 말했다.

루비키는 세계적인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관련 허위 정보를 게재한다는 러시아 측의 불만이 제기됨에 따라 등장한 대체 서비스로, 지난달 15일 정식 출시됐다.

루비키는 "누구나 콘텐츠 제작에 참여할 수는 있지만, 전문가만이 자료 검증을 보증한다는 점에서 위키피디아와 다르다"고 강조하고 있다.

abbi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