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대신 쓰레기 둥둥”… 저수지낚시터 환경오염 ‘시름’ [현장, 그곳&]

황아현 기자 2024. 2. 13. 05:3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물가·갑판 주변 쓰레기 뒤엉켜 방치
도내 북동·마전저수지 등 대책 시급
지자체 사용허가만… 단속권은 없어
“사업자에 환경정화 활동 지속 권고”
12일 오전 9시께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북동낚시터 일대. 저수지낚시터 주변에 낚시꾼들이 버리고 간 낚시대, 소형 뜰채, 빈 캔 등이 담긴 양동이 등 쓰레기들이 널브러져 있다. 황아현기자

 

12일 오전 9시께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북동낚시터(북동저수지).

물가 가장자리 곳곳엔 낚시꾼들이 오래 전 내다 버린 것으로 보이는 캔·페트병 등 쓰레기가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낚시터에 설치된 데크 주변도 낚시대, 소형 뜰채, 캔, 페트병, 과자 봉지, 플라스틱 일회용기 등 쓰레기가 버려진 채 풀과 뒤엉켜 있었다. 주민 신호정씨(가명·45)는 “일부 몰상식한 낚시꾼이 맥주·음료 캔이나 음식물을 내다 버리고 간다. 치우는 사람, 버리는 사람 따로 있느냐”며 “보기 싫고 흉물스러울 건 말할 것 없고 환경도 걱정된다”고 눈살을 찌푸렸다.

12일 오후 1시께 시흥시 군자로 달월낚시터(마전저수지) 일원. 낚시터인 저수지 주변에 낚시꾼 등이 버리고 간 쓰레기들이 널브러져 있다. 황아현기자

이날 오후 1시께 시흥시 군자로 달월낚시터(마전저수지), 금이동 칠리제낚시터(칠리제저수지) 주변도 상황은 같았다. 관리인이 현장에 상주하고 있고, 쓰레기를 버리는 구역이 따로 마련됐음에도 곳곳엔 폐 종이박스, 빈 미끼통, 맥주 캔,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 등이 내팽겨쳐진 채 나뒹굴고 있었다.

경기도 내 일부 낚시터가 관계 당국의 방치 속에 무단 투기된 불법 쓰레기들로 토양·수질 오염이 우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경기도 등에 따르면 경기도내 허가된 낚시터는 2020년 305곳, 2021년 310곳, 2022년 317곳으로 해마다 소폭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낚시터가 운영되는 지역 저수지 일대 곳곳은 낚시꾼들이 무분별하게 투기한 쓰레기들로 얼룩진 채 방치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12일 오후 2시께 시흥시 과림저수지길 과림낚시터. 낚시꾼들이 버리고 간 폐 종이박스가 버려져 있다. 황아현기자

해당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저수지낚시터 일대 환경 정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더라도, 이를 단속할 주체가 없어서다.

낚시터의 사용승인 허가는 일선 지자체에서 하고 있지만 이후 현장에 대한 관리 권한은 전적으로 사업주인 낚시터 운영자가 가진다. 지자체는 허가 이후 사업주가 구명 조끼 구비 등 허가 조건을 이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단속권은 갖고 있지만 환경 관련 단속권은 없다.

황성현 경기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저수지에 버려진 플라스틱 등 쓰레기는 토양·수질오염을 일으킬 수 있고, 저수지 물이 농업 용수 등으로 쓰일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피해는 결국 사람들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어 사업주에 대한 교육 강화 등 지자체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저수지낚시터 관련 민원 등이 들어오고 있어 해당 문제에 대해선 인지하고 있다”며 “환경 관련 조건을 사용승인 허가 기준에 반영하는 것을 검토하거나 사업주 교육 강화, 허가조건 이행 여부 단속 시 환경 정화 활동에 대한 권고를 지속하는 등의 노력을 해보겠다”고 말했다.

황아현 기자 1cor103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