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에 후각 상실…2m 앞 꽃도 못 찾는 나방 [포토]

곽윤섭 기자 2024. 2. 12. 16: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떤 식물은 야간에만 꽃이 피고 나방과 같은 야행성 수분 매개자에게 의존하여 번성한다.

8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는 밤에 훨씬 더 널리 퍼져 있는 대기 오염 물질(질산염 라디칼은 태양광에 의해 급속히 광분해된다)이 나방 같은 생물들이 꽃향기를 추적하는 능력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흰줄스핑크스나방이 달맞이꽃에 수분하는 모습. 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새로운 논문은 밤에 훨씬 더 널리 퍼지는 인간이 만든 대기 오염 물질이 곤충의 꽃 향기를 추적하는 능력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론 울프/워싱턴 대학교사진 AFP 연합뉴스

어떤 식물은 야간에만 꽃이 피고 나방과 같은 야행성 수분 매개자에게 의존하여 번성한다. 8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는 밤에 훨씬 더 널리 퍼져 있는 대기 오염 물질(질산염 라디칼은 태양광에 의해 급속히 광분해된다)이 나방 같은 생물들이 꽃향기를 추적하는 능력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논문의 수석연구자이자 워싱턴대 생물학 교수인 제프 리펠은 “24만종의 식물 중 4분의 3이 수분 매개자 생물에 의존한다. (곤충 같은) 수분 매개자는 생태학에서 큰 역할을 하며 식물의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 영향을 미치면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분 매개자는 인류의 식량 시스템과 식량 안보에도 매우 중요하다. 곤충을 잘못 건드리면 결국 인류가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며 “인류의 활동으로 대기가 오염되어 수분 매개자들이 냄새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직접적이지 않은 감각적 공해는 놀랍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동물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이동하는 새들을 건물 창문과 충돌하게 만드는 도시의 불빛이나 오징어의 귀를 먹게 하는 시끄러운 뱃소리 등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동물의 후각 환경을 바꾸는 방식도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자동차 배기가스나 화석 연료 사용의 부산물인 오존과 질산염 라디칼 오염이 수분 매개자가 숙주 식물을 감지하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부분의 북반구에서 이러한 오염 물질은 곤충이 꽃을 찾을 수 있는 거리를 산업화 이전에는 5km 이상에서 현재는 400m 미만으로 75% 이상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풍동 실험에서 가짜 꽃향기, 진짜 꽃향기, 질산염 라디칼과 오존이 섞인 앵초 향수를 도시 환경에서 예상할 수 있는 농도와 비슷한 농도로 노출하여 매나방이 다양한 향기원을 얼마나 잘 찾아내는지 테스트했다. 오염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는 하룻밤에 80km를 날 수 있으며 수 km 떨어진 곳의 꽃까지 찾아갈 수 있었다. 그러나 질산염 라디칼이 존재할 경우 흰줄스핑크스나방은 불과 2m 떨어진 앵초 꽃을 전혀 찾지 못했고, 담배뿔나방은 목적지에 도착할 확률이 절반으로 떨어졌다.

산업화 이전과 비교했을 때 곤충이 꽃을 찾을 수 있는 거리가 얼마나 많이 줄어들었는지를 보는 표에서 1위는 홍콩으로 산업화 이전 시대와 비교하면 4.9%밖에 되지 않았다. 도쿄, 자카르타, 쿠웨이트시티, 오사카가 뒤를 이었고 서울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하면 12.4%로 16위에 올랐다. 연구에 제시된 표의 도시는 모두 97곳으로 킨샤샤는 89.8%로 97위, 아디스아바바는 82.5%로 96위를 기록했다. 이 도시들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했을 때 곤충이 꽃(수분자)을 찾을 수 있는 거리가 얼마 줄어들지 않은 것이다.

도쿄, 상하이, 로스앤젤레스, 첸나이(인도), 마드리드 등은 수분자 인식 거리가 크게 감소하여 도시인구의 크기가 인식 거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카불, 산티아고, 밀라노 및 바르셀로나 등의 도시는 가장 짧은 인식 거리를 가지고 있고 시드니(60.2%) 같은 남태평양 지역, 루사카(73.9%) 같은 아프리카 지역은 인식 거리가 비교적 짧지만 산업화 이전과의 비교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는 꽃향기 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기후, 지리적 특성 등)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논문 보충자료 (NO3 negatively affects floral scent and nocturnal pollination) 첨부 표.
논문 보충자료 (NO3 negatively affects floral scent and nocturnal pollination) 첨부 표.
논문 보충자료 (NO3 negatively affects floral scent and nocturnal pollination) 첨부 표.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