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12번 제사 지내는 종갓집도 달라졌다… 시간·방식 모두 바꿨다

최유빈 기자 2024. 2. 10. 09: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동 지역 종가들도 시대적 흐름에 맞춰 조상에 대한 제사를 시간과 형식 면에서 바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설날을 앞두고 조상 제사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안동지역 40개 종가를 대상으로 조상 제사 방식 등에 대해 조사했다.

조사 결과 40개 종가 모두 조상 제사를 모시는 시간대를 오후 7~9시로 변경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대 봉사를 2·3대 봉사로 바꾼 종가도 다수
제사 시간과 형식을 바꾸는 종가가 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안동 지역 종가들도 시대적 흐름에 맞춰 조상에 대한 제사를 시간과 형식 면에서 바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설날을 앞두고 조상 제사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안동지역 40개 종가를 대상으로 조상 제사 방식 등에 대해 조사했다.

종가는 보통 4대봉사와 불천위 제사, 설과 추석 차례 등 연평균 12회의 제사를 지내는데 이번 조사는 4대봉사를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 40개 종가 모두 조상 제사를 모시는 시간대를 오후 7~9시로 변경했다. 통상 조상 제사는 오후 11~12시에 지내는 것이 전통적 관행이다.

제사시간 변화뿐만 아니라 부부의 기제사를 합쳐서 지내는 합사(合祀) 방식도 등장했다. 기제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준으로 각각 지내는데, 남편 기일에 부부를 함께 모시고 부인 제사는 생략하는 방식이다.

이는 잦은 제사로 인한 경제적·시간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40개 종가 가운데 약 90%인 35개 종가에서 합사 형태로 바꿨다.

4대봉사를 3대봉사 또는 2대봉사로 바꾼 사례도 11개 종가였다. 이 가운데 10개 종가가 조부모까지의 2대봉사로 변경했다.

최유빈 기자 langsam4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