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어수선한 의료계…설 연휴 갑자기 아프면 어떡하나

강승지 기자 2024. 2. 9. 07: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의사협회·전공의협의회 연휴 직후 파업 계획 구체화 할 듯
연휴 기간 비대면진료 초진 가능…영상통화나 음성전화로 진료
7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 붙은 의대정원 증원 규탄 포스터 모습. 2024.2.7/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의사단체가 총파업 등을 예고하면서 설 연휴 의료대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의사 단체들이 연휴 이후 구체적인 파업 계획을 밝힐 가능성이 높지만, 평상시보다 문을 연 병의원과 약국이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혹시 모를 비상 상황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전망이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는 지난 8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어 '의대 증원 저지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설치를 의결했다. 다만 단체행동 계획을 확정하지 않고 비대위 설치만 의결했다. 비대위 구성과 파업 계획은 설 연휴 이후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의가 되기 위해 병원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들 움직임은 긴박해지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수련병원 140여곳, 전공의 1만여명을 대상으로 단체행동 의향을 물은 결과 88.2%에 참여 의사가 있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일부 병원 전공의협의회는 대전협 단체행동 결정이 나는 즉시 동참할 수 있도록 원내 전공의들끼리 사전투표를 마쳤으며, 진료 거부보다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는 방향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협은 오는 12일 온라인으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어 의대증원에 대한 자체 대응방안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박단 대전협 회장은 최근 자신의 SNS에 "할 수 있는 모든 대응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지난 7일 오후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수본) 2차 회의를 열고 집단사직 움직임을 보이는 전공의들의 행동을 차단하려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내렸다. 일부 전공의들이 업무개시명령을 사전에 무력화하려는 동향을 파악했다는 입장이다.

설 연휴 문 여는 병·의원 및 약국 수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연휴 이후 총파업 실행이 예상되는 가운데 연휴 기간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정보는 △응급의료 포털 △응급의료 정보 제공 '이젠'(E-Gen) 앱 △보건복지콜센터 129 △구급상황관리센터 119 △시도콜센터 120을 통해 알 수 있다. 하루 평균 7800여곳의 병의원과 약국이 문을 연다.

'이젠' 앱을 켜면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지도에서 볼 수 있고 응급의료 포털에 접속하면 이날부터 별도의 화면에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정보가 표시된다. 또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520여곳은 평소와 동일하게 24시간 진료한다.

방문이 여의찮을 경우 비대면진료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지난해 12월 15일부터 정부가 시범사업 보완 방안을 시행하면서 휴일 시간에 제한 없이 대면진료 경험이 없는 의료기관에서도 초진 비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비대면진료로 처방받은 약은 약국에서 본인 혹은 대리 수령이 기본 원칙이다. 직접 약을 받기 어려운 섬·벽지 환자, 거동 불편자, 감염병 확진 환자, 희귀질환자에 한해 약 배송이 허용된다.

비대면진료가 이뤄질 때는 영상통화를 활용해야 하며, 단순 문자메시지나 메신저만 이용할 수는 없다. 화면에 얼굴을 마주하며 진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스마트폰이 없거나 활용이 불가능한 경우 등에 예외적으로 음성 전화를 통한 진료가 허용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보완방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12.1/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플랫폼들은 초진 환자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취지의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플랫폼 업체들로 구성된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시범사업 보완방안 시행 50일간 플랫폼을 통한 진료 요청 건수(17만7713건)가 시행 전 50일(2만1293건)보다 8.3배 늘어났다고 밝혔다.

원산협이 국민 체감사례도 조사한 결과 부산에서 자녀 2명을 키우는 30대 주부 서모씨는 "소아청소년과가 멀고 대기도 길어 간편하게 비대면진료를 받으려 이용했다"며 "약 수령이 쉽지 않았지만 아이들 데리고 병원에 가 기다리는 것보다는 나았다"고 말했다.

원산협 조사에 응한 국민이 선택한 비대면진료 제도 개선 과제로는 '약 배송을 통한 비대면 의약품 수령 허용의 필요성'이 가장 많았다. 진료 가능 시간 확대, 병원에서 활용할 비대면진료 가이드라인 마련, 병원과 약국의 비대면진료에 대한 인식 제고 등도 제안됐다.

의료진들도 국민 의견과 대체로 비슷하다. 비대면진료 플랫폼 '올라케어' 이용 경험이 있는 서울 강남의 가정의학과의원 원장 A씨는 "전체 진료건수 중 월 비대면진료 건수의 비율이 3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이를 지키고 있다"면서도 "초진 비중이 늘었다"고 말했다.

비대면진료 플랫폼 '바로솔닥'을 활용해 본 서울 서초의 내과의원 원장 B씨는 "비대면진료는 되는데 약 배송이 안 된다는 점은 난센스"라며 "정부와 의약 단체 등이 충분한 논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과 의료진 모두에 도움이 될 비대면진료 인프라를 만들 때"라고 진단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