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설 음식 냉기에 속지 마세요 ‘속까지’ 익혀드세요

윤희일 기자 2024. 2. 8. 19: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겨울철에도 상온 보관 땐 식중독 위험
손씻기 꼼꼼…식재료별로 도마도 구분

설연휴는 겨울철이기 때문에 식중독 예방 등 식품 안전에 상대적으로 소홀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사람이 모여 많은 음식을 만들어 먹기 때문에 식중독에 걸릴 가능성이 평상시보다 높다.

대전시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설연휴에 집단 식중독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몇 가지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킬 필요가 있다고 8일 밝혔다.

우선 음식을 만들기 전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달걀이나 생고기 등을 만진 뒤에도 반드시 손을 다시 씻고 조리를 해야 한다. 식재료와 조리기구를 깨끗하게 씻는 것도 중요하다.

또 같은 칼과 도마 등을 사용하면 식재료 사이의 교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육류·생선용, 채소·과일용 등 식재료별로 칼·도마 등 조리기구를 구분해 써야 한다.

겨울철이라도 음식을 잘 익혀 먹어야 한다. 고기완자 등 분쇄육을 조리할 때는 속까지 완전히 익혀야 한다. 햄·소시지 등은 중심 온도를 기준으로 75도에서 1분 이상, 굴·조개 등의 어패류는 85도에서 1분 이상 가열 조리하는 것이 좋다. 마시는 물은 반드시 끓여서 먹어야 한다.

냉장·냉동 식품을 상온에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냉장식품은 5도 이하에서, 냉동식품은 영하 18도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육류·달걀 등은 조리하기 전까지 냉장고에 보관하고, 조리된 음식을 보관할 때는 빠르게 식힌 후 냉장 보관해야 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설 명절 기간은 기온이 낮아 방심하기 쉽지만, 음식을 상온에서 2시간 이상 보관하는 경우 식중독균 등 세균이 증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섭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식중독은 보통 오염된 음식을 먹은 뒤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부분 설사·구토·복통을 동반한다. 설사와 구토는 우리 몸에서 독소를 내보내는 방어 작용이기 때문에 함부로 설사약을 먹으면 독소가 나갈 수 없어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알아도 체크! 손 씻는 순서
거품 내기→깍지 끼고 비비기손바닥·손등 문지르기→손가락 돌려 닦기→손톱으로 문지르기→흐르는 물로 헹구기→물기 닦기

윤희일 선임기자 yh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