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즐기는 특별한 '설'…잊고 있던 문화여행 '짧은 연휴, 긴 여운'

김세형 2024. 2. 8. 09: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서울의 많은 여행지 중 한국의 미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한국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곳은 서울이다. 한국인에게 가장 친숙한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행지로서는 가장 낯선 곳이다.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다. 언제부터인가 여행은 특별한 곳으로 떠나야 한다는 인식이 강해졌으니 그럴 게다. 생활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공간을 여행지로써 생각하는 것 자체를 무의식적으로 경계했을지도 모른다. 서울에 사는 사람 중 한강 유람선을 타 본 사람을 찾는 게 쉽지 않은 이유다. 짧은 연휴, 제대로 된 한국의 멋을 즐길 수 있는 서울 여행지를 소개한다. 서울의 관광지를 외국인들에게 알리는 핵심 역할을 하는 '서울관광재단'의 추천 여행지 중 실내에서 문화와 함께 할 수 있는 곳을 위주로 추렸다. K컬처가 세계로 뻗어가는 가운데 정수를 느끼며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 자체로 매력적인 공간들이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한국 근대미술을 품은 고궁 속 미술관으로 예술뿐만 아니라 근대 건축양식을 함께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 국립현대미술관, 비용 부담 '↓' 만족도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서울의 많은 여행지 중 세계로 뻗어가고 있는 K컬처를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이다. 게다가 설 연휴 기간 전관이 무료로 개방된다. 역귀성족이나 짧은 연휴 특별한 여행 계획을 세우지 않은 이들에게는 희소식이다. 평소라면 많은 사람에 치일 수 있겠지만, 민족 대규모 명절(설, 추석)에는 서울의 유동인구가 줄어드는 점에서 한국에서 가장 쾌적한 문화 관람 여행을 즐길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경복궁, 인사동, 북촌한옥마을 등 서울의 옛 모습을 느낄 수 있는 주요 관광지와 인접해 있어 반나절 나들이 코스로 제격이다. 국내 유일의 국가 현대 미술관으로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하여 반세기의 역사를 거치며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는 8개의 전시장과 교육시설, 도서 아카이브, 식당과 카페까지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시장을 연결하는 게이트와 뒤편의 언덕, 보물 제2151호로 지정된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까지 거닐며 사색에 잠기거나 인생샷을 남길 수 있는 요소가 곳곳에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전시 '백 투 더 퓨처'를 관람하고 있는 여행객 모습. 사진제송=서울관광재단

설 연휴 기간에 진행되는 전시로는 '김구림 전', '올해의 작가상 2023'. '백년 여행기' 등이 있다. 가족과 함께 보기 좋은 전시로는 퍼포먼스와 연출 중심의 사진과 영상, 설치 작업으로 국내외 미술계의 조명을 받는 정연두 작가의 '백년 여행기'가 제격이다. 전시에서는 멕시코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이민 후손들을 인터뷰하며 다양한 시공간 및 이민자의 서사를 생생히 전달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트샵에는 다양한 휴식공간 등이 있어 남녀노소 휴식을 취하기 좋은 공간이다.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한국 근대미술을 품은 고궁 속 미술관으로 예술뿐만 아니라 근대 건축양식을 함께 관람할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이 자리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은 1938년에 완공된 우리나라 근대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건물로서 4개의 전시실과 휴게공간, 아트숍 등을 갖추고 있다. 덕수궁관은 앞마당의 분수와 덕수궁의 여러 건물이 어우러진 가운데 자리해 있어 근대의 현장에 들어가 현대의 미술을 감상하는 독특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미술관 건너편의 중화전에서 사진을 찍으면 미술관과 연못을 배경삼아 좋은 추억을 남길 수 있다.

대표적인 볼거리로는 2월 12일까지 진행되는 장욱진(1917~1990) 자가의 60년 회고전이 있다. 전시회에는 유화, 먹그림, 매직펜, 표지화와 삽화 및 도자기 그림 등 270여 점이 전시된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은 덕수궁 길을 걷다 보면 만날 수 있는 곳으로 르네상스식 옛 대법원 건물의 전면부가 인상적이다.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서울시립미술관, 미술의 향연 만끽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은 설 연휴 기간 고즈넉한 덕수궁 길을 따라 경사진 언덕을 끼고 오르면 수목이 어우러진 야외 뜰을 시작으로 다채로운 미술의 향연을 만끽할 수 있다. 르네상스식 옛 대법원 건물의 전면부와 현대식 건물의 후면부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서울시립미술관은 여럿이 만드는 미래, 모두가 연결된 미술관을 주제로 익숙함과 낯섦이 함께 공존하는 서울에서 누구나 친근하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유기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로비를 지나 계단을 오르면서 하늘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나무 계단을 통해 건물의 전면부와 유리로 이어지는 실내공간의 독특한 멋을 느낄 수 있다. 충분한 자연광이 들어오는 밝은 실내가 서울에서 흔치 않은 사진 촬영 명소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구본창의 항해' 전시회 모습.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설 연휴 기간 진행되는 전시 중 달항아리 사진으로 세계적인 작가의 반열에 오른 사진가 구본창의 회고전 '구본창의 항해'가 진행된다.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현대사진의 시작과 전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 온 만큼 어린 소년 시절부터 현재까지 수집해 온 소품과 이를 촬영한 작품들, 중학생 때 촬영한 최초의 '자화상(1968)'을 포함한 여러 사진을 만날 수 있다.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에서는 강은엽, 구수현, 김신록, 김홍석 등 국내외 여러 아티스트의 작품 69점이 전시된다.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미술관에서 진행되는 '이동기vs강상우전'은 가족 단위 방문객이 관람하기 좋은 전시회다.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넓은 앞마당과 여유로운 공간은 도심 속 휴식과 문화 충전을 동시에 가능하게 해주어 아이들과 함께하기에도 좋다. 지하 1층에 있는 어린이갤러리는 3개 층을 수직으로 개방하여 천장 높이가 17m에 달하는 열린 공간으로 아이들의 관람뿐만 아니라 스튜디오 내에서의 다양한 교육과 공공 프로그램, 미술사 강의 등이 진행되어 어린이를 위한 체험형 예술을 경험할 수 있다. 개관 10주년을 기념해 진행되고 있는 개성 있는 캐릭터를 가진 작가 두 명의 타이틀 매치 '이동기vs강상우'전은 대중매체의 이미지가 차용한 것을 재차용하거나 연약한 뒷모습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친숙하면서도 자유롭고 실험적인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3층의 아트 라이브러리는 미술 전문 자료실로서 미술 관련 도서, 전시용 도록뿐만 아니라 미술 관련 대중 도서,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까지 다양한 도서를 만나볼 수 있는 미술 정보공간이 조성되어 있어 가족 단위로 방문하기 좋다.

◇세종문화회관은 광화문광장과 연결되어 있어 교통의 요지에 있는 국내 대표 문화공간이다.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세종문화회관, 남녀노소 광화문 등 접근성 높아 매력

세종문화회관은 광화문광장과 연결되어 있어 교통의 요지에 있는 국내 대표 문화공간이다. 공연뿐만 아니라 역사와 전통을 가진 전시부터 최신의 전시까지 다양한 문화적 충전이 가능해 온 가족이 즐길거리가 많다. 2월에는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뮤지컬 중 하나인 '노트르담 드 파리'의 한국어 버전의 공연을 만날 수 있다. 빅토르 위고의 고전을 바탕으로 탄탄한 스토리와 아름다운 선율을 보여주는 이 공연은 뮤지컬이 구사할 수 있는 여러 장치와 상상력에 세종문화회관의 기술적 구현이 더해져 최고의 감동을 선사한다.

세종문화회관은 공연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시와 체험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공연장에서 미술관으로 향하는 길목에는 여러 종류의 책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세종라운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연중 다채로운 전시를 선보인다. 그림자 회화(카게에) 거장으로 불리는 일본 작가 후지시로 세이지의 전시 '오사카 파노라마展' 등이다. 설 연휴 기간에는 '엄마 아빠 행복 프로젝트 이벤트'가 진행, 엄마 또는 아빠와 미술관을 방문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은 2명까지 무료입장할 수 있다.

◇세종문화회관의 지하에서 진행중인 '충무공이야기' 전시회에서는 거대한 크기의 거북선에 직접 들어가 볼 수 있다. 사진제공=서울관광재단

지하에는 누구나 우리 역사의 위인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는 세종, 충무공 이야기를 상설 전시하고 있다. 충무공 이순신 이야기 전시에는 거대한 크기의 거북선에 직접 들어가 볼 수 있으며, 3면의 화면에 상영되는 영상과 움직이는 의자까지 실감 나는 체험을 할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 직접 거북선 모형을 만들어보거나 한글 배지 만들기, 붓글씨 체험 등등 넓은 공간을 활용한 경험도 가능하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