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그 누구도 책임지지않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

석지연 기자 2024. 2. 8.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일어난 '오송 지하차도 참사' 사건의 생존자가 한 말이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이 여전히 해결이 안된 채 도돌이표처럼 되풀이 되고 있어서 다.

7개월이 지난 현재, 사건을 돌이켜볼 때 '오송 지하참사 사건'은 단순히 지역의 일이 아닌 모두가 기억해야 할 또 하나의 참사로 안전 책임자의 안일한 대처가 얼마나 무서운 참사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석지연 충북취재본부 기자

"이미 물에 잠긴 차도에는 버스와 많은 차량이 밀려 들어갔고, 불과 몇 분 사이에 사람도 차량도 모두 물에 둥둥 떠다니며 고통의 시간을 지냈습니다"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일어난 '오송 지하차도 참사' 사건의 생존자가 한 말이다. 단 몇 마디만 들었을 뿐인데 그 상황이 얼마나 무서웠을지 감이 안 잡힌다. 현장 대응 문제점과 부실한 재난대응시스템을 지적받은 이 사건은 14명 사망자, 16명 부상자가 발생한 비극의 결과를 초래했다.

하지만 비극은 여전히 현재 진행중이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이 여전히 해결이 안된 채 도돌이표처럼 되풀이 되고 있어서 다. 재판은 해를 넘기고서야 186일만에 처음으로 열렸다. 피해자 유가족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숨죽이면서 재판을 지켜보는 가운데, 참사사고 1차 원인으로 지목된 임시제방 부실공사 책임자인 현장소장과 관리소장이 피고인측으로 법정에 섰다. 고개를 숙이며 혐의를 인정한 감독 감리단장과 달리 공사를 진행한 현장소장은 혐의를 부인했다.

현장소장 같은 태도는 충북도와 청주시 최고 책임자들도 마찬가지였다.

도는 '궁평2지하차도'를 위험도 최하등급으로 매기는 안일한 태도를 보였고 시는 해당 도로가 도의 관할이라고 주장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주민 신고를 듣고도 즉각 출동하지 않았다.

정부와 지자체 등 아무도 침수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고 있어서 결국 속이 타는 피해자들과 시민들이 직접 나서 오송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조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2차 공판을 일주일 앞두고 수사당국에 촘촘한 수사와 최고 책임자들의 기소를 촉구했고, 국회 차원의 국정조사계획안도 빠르게 통과되기를 요구했다.

7개월이 지난 현재, 사건을 돌이켜볼 때 '오송 지하참사 사건'은 단순히 지역의 일이 아닌 모두가 기억해야 할 또 하나의 참사로 안전 책임자의 안일한 대처가 얼마나 무서운 참사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