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춘제 앞두고 폭설로 교통대란…호흡기질환 확산 우려도

이봉석 2024. 2. 5. 1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일부 지역에서 춘제(春節·중국의 설) 연휴(10~17일)를 앞두고 폭설로 교통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춘제 전후로 역대 최대 규모인 연인원 90억명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호흡기 질환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

춘제 전후로 사상 최대 규모의 여행객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코로나19 등 호흡기 질환 확산 우려에 대한 경고음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 보건 당국은 지난달 중순에도 호흡기 질환 확산 가능성을 경고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눈 18㎝ 쌓이기도…고속도로·활주로 폐쇄되고 열차 서행
보건 당국 "대규모 이동, 호흡기질환 전파 가속하기 쉬워"
열차 운행 중단으로 혼잡한 우한철도역 [AFP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중국 일부 지역에서 춘제(春節·중국의 설) 연휴(10~17일)를 앞두고 폭설로 교통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춘제 전후로 역대 최대 규모인 연인원 90억명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호흡기 질환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

5일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후베이(湖北)와 후난(湖南), 안후이(安徽)성 등 중국 중동부 지역에 최근 많은 눈이 내려 교통이 마비됐다.

후베이 첸장(潛江), 잉청(應城) 등지에는 최대 18㎝의 눈이 쌓였다.

안후이성은 4일 오전 눈과 영하의 날씨로 95곳이 넘는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차량 진입을 막았다.

이에 따라 춘제 특별 운송 기간인 춘윈(春運·1월26일~3월5일)임에도 불구하고 여행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또 후베이성의 성도 우한(武漢) 톈허(天河) 국제공항의 활주로 2개는 지난 3일 저녁 잠정 폐쇄되기도 했다.

24시간 넘게 여객기가 연착된 가운데 2시간 반 밖에 잠을 자지 못한 한 여성 승객이 공항 바닥에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모습이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퍼지기도 했다.

우한의 열차 141편도 4일 폭설과 강추위로 운행이 중단됐다.

철도 당국은 직원 약 3천명을 투입해 선로 전환기에 쌓인 눈을 치웠다.

후난성의 경우, 안전 우려로 3일부터 이날까지 사흘간 충칭-샤먼 등 열차 노선의 최고속도를 제한했다.

지난 1일 허난성 주마뎬(駐馬店)시에서는 폭설 때문에 결혼식 피로연이 돼지우리에서 치러지는 진풍경도 SNS에서 화제가 됐다.

혼주가 굵은 눈발이 날리는 야외보다 돼지우리가 하객들을 모시기에 더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폭설에 돼지우리에서 열린 결혼식 피로연 [중국 SNS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돈사는 돼지를 키우지 않은 지 오래돼 깨끗하게 청소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은 "혼주의 배려를 보여주는 것"과 "돼지우리에서 피로연이라니 흉하다"는 의견으로 갈렸다.

후베이와 안후이성 남부, 후난성 북부, 충칭시 남부 등 지역에는 7일까지 눈이 계속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춘제 전후로 사상 최대 규모의 여행객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코로나19 등 호흡기 질환 확산 우려에 대한 경고음도 높아지고 있다.

미펑(米鋒)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대변인은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인구의 대규모 이동과 모임은 호흡기 질환의 전파를 가속하기 쉽다"고 강조했다.

미 대변인은 "전문가들은 이달 여러 호흡기 질환이 돌아가며 또는 동시에 유행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작년 12월 초 단기 정점을 찍은 중국의 급성 호흡기 질환 환자 수는 감소세를 보이다 같은 달 말 소폭 반등한 이후 최근 3주 연속 줄었다.

코로나19의 경우 현재 중국 본토에서는 JN.1 변이가 우세종이 된 상황이다.

중국 보건 당국은 지난달 중순에도 호흡기 질환 확산 가능성을 경고했다.

anfour@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