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스마트폰, 그다음은?…현실과 디지털 잇는 '컴퓨팅'의 진화

변휘 기자 2024. 2. 4. 15: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T리포트-'공간컴퓨팅' 혁명]②AR·VR과 달라?…애플 "공간 컴퓨팅" 미는 이유
[편집자주] 애플의 새로운 헤드셋 기기 '비전프로'가 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공식 출시됐다. 구글이 실험했던 '구글 글래스', 메타가 상용화 한 '퀘스트3', 이어 삼성전자도 MR(혼합현실) 기기를 준비하면서 현실과 디지털 세상의 소통 방식을 재정의하는 '공간컴퓨팅 기기' 경쟁이 뜨거워지는 흐름이다. PC와 스마트폰에 이어 디지털 디바이스 혁신의 도화선이 될 수 있는 공간컴퓨팅 혁명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짚어본다.

뉴욕 맨해튼 5번가 애플 스토어/사진=팀쿡 애플 CEO 트위터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의 시대가 왔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3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날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 애플 스토어에서 '비전 프로(Vision Pro)'를 출시하겠다고 알리며 이처럼 밝혔다.

과거 아이폰 이전에도 스마트폰은 존재했던 것처럼, 애플의 헤드셋 신제품 비전 프로를 세상에 없던 완벽히 새로운 기기라고 할 수는 없다. 구글은 일찌감치 2011년 기기 '구글 글래스'를 공개했다 접었고, 메타는 '오큘러스(Oculus)'를 시작으로 '퀘스트3(Quest3, 2023년 10월 출시)까지 헤드셋 제품을 밀고 있다. AR·XR·MR·VR(증강·확장·혼합·가상현실) 기반의 미래형 기기에 대한 도전은 애플만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그러나 애플은 비전프로를 공간 컴퓨팅 기기로 정의하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팀 쿡 CEO는 지난해 7월 애플 연례 개발자회의(WWDC)에서 처음으로 비전프로 출시를 예고하며 "오늘은 컴퓨팅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래전 매킨토시가 개인용 컴퓨팅 시대, 아이폰이 모바일 컴퓨팅 시대를 열었듯, 비전 프로는 공간 컴퓨팅 시대를 열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21년 개념화된 공간컴퓨팅…기술 발전에 현실화
공간 컴퓨팅의 개념은 2003년 MIT(메사추세스공과대) 미디어랩의 사이먼 그린월드가 발표한 석사 논문에서 처음으로 제시됐다. 그는 논문에서 공간 컴퓨팅을 "기계가 실제 물체와 공간에 대한 참조 대상을 유지하고 조작하는 기계와 인간의 상호 작용"으로 정의했다. 당시에는 현실 공간과 디지털 세계를 연결할 기술이 부재했지만, 이후 AR·XR·MR·VR의 등장으로 공간컴퓨팅 이론은 조금씩 현실화하고 있다.

애플이 공개한 '비전프로 가이드' 영상을 살펴보면, 비전프로를 쓴 남성의 눈앞에는 집안의 거실이 그대로 존재하고, 동시에 허공에는 메일·메시지·사진·뮤직·사파리(iOS의 모바일 웹브라우저) 등이 떠 있다. 책상에 앉아 왼쪽에는 뮤직 앱을, 오른쪽에는 메일을 몰아 놓고, 정면에는 웹브라우저를 띄워 작업할 수 있다.

'비전프로 가이드' 영상/사진=애플, 영상 갈무리

또 엄지와 검지를 오므려 마치 꼬집는 듯한 손짓의 핀치(Pinch), 실행 중인 앱을 끌어당기는 드래그(Drag) 등 간단한 조작만으로 앱을 실행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마치 2002년 할리우드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톰 크루즈가 허공에 떠 있는 가상 컴퓨터 화면을 손짓만으로 조작했던 것과 비슷하다.

특히 PC와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 안에 디지털 콘텐츠를 가뒀다면, 공간 컴퓨팅은 눈 앞의 물리적 공간에 디지털 콘텐츠를 늘어놓고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알레산드라 맥기니스 비전프로 프로덕트 매니저는 "바로 여기, 우리의 눈앞에 이렇게 거대한 것이 있다. 사진을 크게 보려면 이용자가 모서리를 바라보고 '핀치 앤 드래그' 하면 된다"고 말했다.
"인류의 미래 바꿀까…자동차·시계 모두 공간컴퓨팅 장치"
공간컴퓨팅의 확산이 인류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다. 스마트폰의 등장에서 경험했듯, 새로운 컴퓨팅 디바이스는 인간이 현실 세계를 바라보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바꾼다. 이에 비전프로 등 헤드셋, 글래스 등 새로운 디바이스가 지배적인 컴퓨팅 기술로 자리 잡는다면,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도 달라질 수 있다.

그간 인류는 PC와 스마트폰 앞에서 목을 수그린 채 온종일 화면을 들여다보곤 했지만, 앞으로는 공간컴퓨팅을 통해 '거북목'에서 해방될지도 모를 일이다. 당장 엔터테인먼트는 공간컴퓨팅이 활용될 대표 분야로 꼽힌다. 눈앞에 아이맥스(IMAX) 영화관 이상의 실감 나는 환경이 제공된다. 무한한 디스플레이를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사업 분야에서 즉각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미국의 ICT(정보통신기술) 컨설턴트인 캐시 해클은 ABC뉴스에 "공간컴퓨팅은 사용자가 기술에 적응하도록 요구하는 대신 사용자에게 적응하기 시작하는 기술로, 이 모든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결국 시계와 자동차까지, 모든 인터페이스가 공간컴퓨팅 장치로 변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