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저주' '가짜 금메달의 저주'… 아시안컵 둘러싼 '저주 시리즈'

김진주 2024. 2. 4. 14: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란의 저주' 피한 클린스만호,
'가짜 금메달의 저주' 깰 때 됐다

2023 카타르 아시안컵은 기존 순위와 예측이 무색할 정도로 이변을 거듭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이변의 근원을 찾기보다 각종 '저주 시리즈'가 난무하고 있다. 단 하나의 우승컵을 향한 아시아 국가들의 자존심을 건 치열한 경쟁이 낳은 궁색한 변명이자 그럴싸한 명분이기도 한 저주 시리즈를 살펴봤다.

3일(현지시간) 카타르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2023 카타르 아시안컵 8강전 이란 대 일본의 경기 이란이 2:1로 역전승을 거뒀다.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선수들이 기뻐하고 있다. 알라이얀=뉴시스

① 나를 밟고 가시는 님은 발병난다... '이란의 저주'

가장 최근 눈길을 끌었던 건 '이란의 저주'다. 이 저주는 3일(이하 한국시간) 치러진 이란과 일본의 8강전을 앞두고 강력 우승 후보인 두 국가간의 맞대결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4년 만에 고개를 들었다.

이란의 저주는, 이란을 떨어뜨린 팀은 바로 다음 라운드에서 탈락한다는 무시무시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저주의 시작은 2000년. 이때부터 6개 대회 연속 이란을 밟고 올라간 뒤 웃은 팀은 하나도 없었다.

첫 번째 희생양이었던 우리나라는 그간 총 3번이나 이 저주에 걸려 넘어졌다. 2000년 레바논 아시안컵에서 한국은 8강에 진출해 이란을 2-1로 제쳤지만, 4강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1-2로 무너졌다. 2007년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공동 개최 아시안컵에서도 8강에서 이란을 잡은 뒤 4강에서 어김없이 패했다. 8강에서 만나 승기를 잡은 뒤 4강에서 떨어지는 불운은 2011년 카타르 아시안컵에서도 반복됐다. 당시 한국은 8강에서 이란을 제쳤지만, 4강 한일전에서 고개를 숙여야 했다.

2004년 중국 아시안컵에선 홈팀인 중국이 당했다. 중국은 4강에서 이란과의 승부차기 끝에 가까스로 결승에 진출했지만 일본에 1-3으로 패했다. 아시안컵 역대 최다 우승국인 일본도 이 저주를 피하지 못했다. 2019년 아랍에미리트(UAE) 아시안컵에서 일본은 이란과 4강전을 치르며 3-0으로 압도했으나 결승에서 카타르에 1-3으로 패했다.

클린스만호는 다행히 이번 대회에서 준결승까지 이란과의 맞대결을 피했다. 저주가 통한다면 앞으로의 시나리오도 나쁘지 않다. 우리나라 남자 축구 대표팀이 7일 0시 요르단과의 준결승에서 승리한다는 가정 하에 결승에서 이란을 만난다면 빅매치를 벌일 것이고, 카타르가 이란을 꺾고 올라온다면 '이란의 저주'로 결승에서 무릎을 꿇을 수 있어서다.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한국과 호주의 8강전에서 승리를 거둔 대표팀 선수들이 3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 알에글라 훈련장에서 회복훈련을 하고 있다. 도하=연합뉴스

② 64년간 풀리지 않은 '가짜 금메달의 저주', 이번엔 풀릴까

이번 아시안컵에서 64년 만의 우승을 향해 달리는 우리나라 축구 대표팀에는 64년 째 이어져온 '가짜 금메달의 저주'가 있다. 이 저주는 대한축구협회의 황당한 행정이 발단이 됐다.

우리나라는 1956년 제1회 아시안컵 우승 이후 그 기세를 몰아 1960년 제2회에서도 우승컵을 들어올렸는데, 이때 협회가 1회 때와 달리 도금 메달을 준 것. 분노한 선수들이 일제히 메달을 반납했고, 사건이 커지면서 검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사건의 전말은 이랬다. 협회가 순금 메달을 주문하긴 했으나 돈을 적게 줘 금은방 주인이 도금메달을 만들었다. 당시 협회는 "순금으로 다시 만들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집행부가 바뀌면서 없던 일이 됐다. 이후 우리나라는 아시안컵에서 한 번도 우승컵을 들어올리지 못했고, 번번이 준결승 혹은 8강에서 패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축구 원로들이 나서서 이제라도 순금 메달을 주자는 목소리를 냈고, 2014년에 협회는 23개의 순금 메달을 제작해 당시 출전했던 선수들 혹은 그 가족들에게 전했다. 하지만 너무 뒤늦은 후회였을까. 지금까지도 이 저주는 풀리지 않고 있다. 클린스만호가 과연 64년 만에 이 저주를 깰 수 있을지가 남은 경기의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30일(현지시간) 카타르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16강전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 조규성이 사우디 문전에서 공중볼 경합을 벌이고 있다. 알라이얀=연합뉴스

③ 우리에겐 '희망', 일본엔 '악몽'된 '에듀케이션 시티의 저주'

생긴지 불과 2년밖에 안된 '신생 저주'도 있다. 카타르 축구 경기장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의 저주'다. 전후반 90분 내 터지는 골보다 그 이후 터지는 골이 많아 피말리는 경기를 펼치게 한다는 게 이 저주의 골자다. 실제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치러진 2022 카타르 월드컵와 이번 아시안컵 두 대회 토너먼트 4경기에서 90분 내 터진 골은 3골인 반면, 이후 들어간 골이 4골에 달했다.

다만 이번 대회에서 이 저주는 우리에겐 희망이, 일본에겐 악몽이 됐다. 클린스만호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16강전을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치렀는데, 후반 추가시간 9분에 조규성(미트윌란)이 동점골을 넣으면서 팀의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반면 같은 경기장에서 이란과 8강전을 치른 일본은 후반 추가시간에 이란이 역전골을 터뜨리며 패배했다.

다행히 2023 카타르 아시안컵에서 에듀케이션 시티의 저주는 이란-일본전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남은 경기들은 모두 다른 경기장에서 치러진다.

3일(현지시간) 카타르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2023 카타르 아시안컵 8강전 이란 대 일본의 경기 이란이 2:1로 역전승을 거뒀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선수들이 아쉬워하고 있다. 알라이얀=뉴시스

④ 애꿎은 화풀이... 'TV아사히의 저주'

경기 패배 후 애꿎은 데에 화풀이를 하는 경우도 있다. 8강에서 탈락한 일본은 예상치 못한 결과에 충격을 받은 모습인데, 패배의 여러 요인 중 하나로 'TV아사히의 저주'를 꼽고 있다. TV아사히가 중계하는 축구 대표팀 경기에서 일본의 승률이 좋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TV아사히는 이번 대회에서 일본의 조별리그 이라크전과 8강 이란전 등 두 경기를 중계했는데, 일본은 두 경기 모두 패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도 TV아사히에서 중계했으며 당시에도 일본은 졌다.

김진주 기자 pearlkim72@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