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오시티·송파시그니처롯데캐슬 등 1주새 1000만~5000만원 뚝

정영희 기자 2024. 2. 3. 06: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셋값이 동시에 2주 연속 제자리에 머물렀다.

3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번 주(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상반기 이후 본격적으로 신축 아파트 입주가 몰리는 서울 강동·송파 등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이 풀리며 전셋값 상승 속도를 제어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 소강상태… 가격 움직임 정체
설 명절 연휴 영향 겹쳐 당분간 보합세 이어질듯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이 2주 내내 동결된 모습을 보였다. 이번 주(2일 기준) 서울에서는 송파(-0.02%)와 중랑(-0.01%)의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를 보였으며 전세가격은 송파·양천(-0.02%)과 성북(-0.01%)에서 떨어졌다./사진=뉴스1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셋값이 동시에 2주 연속 제자리에 머물렀다. 한산한 분위기가 이어진 가운데 매매가는 1월 셋째 주(19일 기준)부터 3주째 가격 변동이 없다. 전세시장도 임대 문의가 활발하지는 않지만 전세가격 5억원 이하 단지 위주로 간헐적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설 명절 전후로 거래가 뜸해지는 시기인 점을 감안하면 당분간 답보 상태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3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번 주(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재건축과 일반 아파트도 별다른 가격 움직임이 없었고 신도시와 경기·인천 변동률도 0.00%를 기록했다.

서울은 대부분의 지역이 제한된 가격 흐름을 보인 가운데 송파(-0.02%)와 중랑(-0.01%) 2곳은 소폭 하락했다. 송파는 가락동 헬리오시티, 거여동 거여1단지, 송파시그니처롯데캐슬 등이 1000만~5000만원 떨어졌고 중랑은 면목동 두산4·5차가 1000만원가량 하향 조정됐다.

신도시는 평촌(-0.02%)과 분당(-0.01%) 등 1기 신도시가 하락한 반면 2기 신도시 광교는 0.03% 올랐다. 경기·인천에선 안성(-0.10%) 평택(-0.05%) 부천(-0.03%) 시흥(-0.02%) 순으로 내렸다. 수원(0.03%)과 의왕(0.01%)은 대단지 중소형 면적 위주로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같은 권역 내에서도 상승과 하락이 팽팽하게 맞서는 분위기다. 서울과 신도시는 보합(0.00%)을 유지했으나 경기·인천은 0.01% 올라 5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서울은 구로(0.05%)와 영등포·중랑(0.01%)이 올랐다. 송파·양천(-0.02%)과 성북(-0.01%)은 떨어졌다. 신도시는 평촌(-0.02%)과 분당(-0.01%)이 하락했으나 고양 주엽동 문촌17단지신안 등이 500만원 정도 오르며 일산은 0.02% 상승했다. 경기와 인천에선 수원·인천(0.05%)과 화성·이천(0.03%) 등이 상향 조정됐고 부천(-0.04%) 구리(-0.02%) 고양·의왕(-0.01%) 등은 가격이 빠졌다.

이번 주 수도권 시세 조사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상위에 노출된 키워드는 '전세'(573건) '변동'(261건) '거래'(204건) '가격'(249건) '물건'(91건) '물량'(66건)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는 월세 언급량이 전세보다 많았으나 한 주 만에 다시 전세 비중이 늘었다. 매매시장은 '거래절벽'과 '보합' 등의 키워드가 꾸준히 노출되면서 수도권 전역이 거래 소강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체감케 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 아파트의 실거주 의무가 입주일로부터 3년간 유예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달 '주택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수분양자들이 전세보증금을 통해 잔금 마련이 가능해짐에 따라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 이후 본격적으로 신축 아파트 입주가 몰리는 서울 강동·송파 등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이 풀리며 전셋값 상승 속도를 제어할 전망이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수분양자는 3년 이내 실거주를 해야 함에 따라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을 보장하지 않는 사례가 늘면서 임대 거래의 혼선을 야기할 수 있다"며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받는 신축 분양단지를 중심으로 투자 수요를 자극할 우려도 있어 심도 있는 정책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영희 기자 chulsoofriend@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