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회야생태습지서 멸종위기 '참수리' 어린 새 2마리 관찰

김근주 2024. 2. 2. 07: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산시는 울주군 웅촌면 회야댐 연꽃생태습지에서 '참수리' 어린 새 2마리를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장은 "한반도에는 매년 20∼30마리 정도 참수리가 겨울을 지내기 위해 오는데, 주로 어린 새가 많이 발견된다"며 "바닷가, 호수 주변에서 어류를 먹기도 하지만 회야댐처럼 호수와 계곡이 있는 곳에서 포유류를 사냥하기도 하고 죽은 사체를 먹기도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류전문가 김성수 박사 "참수리는 처음 울산 찾아…먹이 풍부·좋은 환경"
울산 회야생태습지서 발견된 멸종위기 '참수리 [울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시는 울주군 웅촌면 회야댐 연꽃생태습지에서 '참수리' 어린 새 2마리를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어린 새는 국제적으로도 보호받고 있는 천연기념물이다.

국내에서 흔치 않은 새로 알려져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겨울 야생동물 서식 실태조사팀이 웅촌 회야댐 생태습지를 찾았을 때, 연밭 얼음 위에 앉아 있는 어린 새 2마리를 발견했다.

이 새들은 흰꼬리수리 어린 새와 비슷한 모습을 보였으나, 전문가들이 사진을 분석한 결과 부리가 굵고 노란빛을 띠고 있어 참수리 어린 새라고 판단했다.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장은 "한반도에는 매년 20∼30마리 정도 참수리가 겨울을 지내기 위해 오는데, 주로 어린 새가 많이 발견된다"며 "바닷가, 호수 주변에서 어류를 먹기도 하지만 회야댐처럼 호수와 계곡이 있는 곳에서 포유류를 사냥하기도 하고 죽은 사체를 먹기도 한다"고 말했다.

조류전문가 김성수 박사는 "태화강 하구에서 가끔 물수리는 볼 수 있지만, 참수리는 처음으로 울산을 찾은 귀한 새"라면서 "울산을 찾은 것은 겨울을 나기에 먹이도 풍부하고 좋은 환경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울산에는 지난해 12월부터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인 황새가 찾아왔으며,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인 큰고니, 독수리, 큰기러기 등도 겨울을 나고 있다.

cant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