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가 줄줄이 韓 떠난 결과···애플 시총보다 작은 코스피

윤경환 기자 2024. 2. 2.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빅테크 7개종목 시총 1경 5000조
MS·애플 단일종목도 韓 시총 추월
법인세 조세 경쟁력 OECD 34위
상속세 부담에 대주주 주가 누르고
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투자자들은 정부가 세제 등에서 엄청난 혜택을 주지 않는 이상 결코 한국 시장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규제만 많은 한국 시장에서 시작할 유인이 없기 때문입니다. 한국 기업을 더 이상 잡은 고기로 인식해서는 안 됩니다.”(김용범 해시드오픈리서치 대표·前 기획재정부 1차관)

“기업이 자신 있게 혁신을 하려면 금융권 대출보다 주식시장의 위험자본을 끌어와야 하는데 한국은 자기자본(에퀴티) 자금을 싸게 조달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미국 나스닥의 경우 엄청나게 높은 멀티플(미래 수익에 대한 투자 배수)이 형성돼 있어 자금 조달 비용이 낮으니 혁신 기업들이 계속 나오는 것입니다.”(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대표)

최근 국내 증시에서는 글로벌 최첨단 기술 시장을 이끌며 외국인 자금을 흡수하는 ‘스타 상장사’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면서 국내외 기관이 위험자본 공급을 주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금 조달 시장이 경색되면서 기업이 다시 현실에 안주하게 하는 악순환이 끊이지 않고 있다. 10년이 멀다 하고 신기술 혁신 기업이 출몰하는 미국과는 판이하게 다른 상황이다.

코스피<MS, 코스피<애플, 코스피<아마존</strong>

이러한 문제는 시장에서 평가하는 기업가치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테슬라, 구글, 메타, 엔비디아, 아마존 등 지난해 나스닥의 상승세를 이끈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세븐(M7)’ 종목의 합계 시가총액은 11조 4763억 4800만 달러(약 1경 5280조 원, 1월 말 기준)에 달한다. 여기서 최근 전기차 시장 부진으로 주가가 빠진 테슬라를 제외하고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혁신주 6개의 시총만 더해도 10조 8798억 6900만 달러(약 1경 4485조 원)에 이른다. 이는 코스피 전체 시총 2030조 327억 원의 7배가 넘는 수치다.

심지어 MS(2조 9541억 9300만 달러), 애플(2조 8511억 7400만 달러), 아마존(1조 6038억 4200만 달러), 엔비디아(1조 5197억 1700만 달러) 등은 단일 기업 시총이 2000조 원을 넘어 코스피 전체 규모와 비슷하거나 더 많다. 미국에 나스닥 기업만 3000개가 넘고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종목도 따로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위험자본 공급에 대한 투자자들의 자신감과 신뢰가 한국보다 월등히 높은 셈이다.

세계시장에서 혁신 기술을 높이 평가받는 기업은 미국 현지 기업뿐만이 아니다. 뉴욕 증시에 미국 주식예탁증서(ADR) 형태로 상장된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 TSMC 시총도 5858억 5800만 달러(약 780조 5800억 원, 1월 말 기준)로 삼성전자(434조 32억 원)의 2배에 육박했다. AI와 관련해 시스템반도체의 중요성이 부각하자 세계 1·2위 기업 간 성장성 격차가 더 벌어진 결과다. 글로벌 증권가에서는 TSMC가 조만간 테슬라를 제치고 M7의 지위를 꿰찰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韓 기술주 대부분 중소형주···초라한 현실

한국 기술주의 현실은 초라하다. 국내 증시에서 AI 테마주로 묶인 기업 가운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NAVER), 카카오 등 극소수를 제외하면 어보브반도체·제주반도체·픽셀플러스·이스트소프트·한글과컴퓨터 등 대다수는 시총 규모가 작은 중소형주다. 국내 대표 기술주로 꼽히는 삼성전자와 네이버 주가도 지난해부터 올 1월 말까지 고작 31.46%, 12.9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카카오는 외려 1.1% 떨어졌다. 메타(321%), 아마존(224%), MS(85%) 등과 비교하기 겸연쩍다. 지난해에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회사인 파두가 ‘뻥튀기 상장’ 의혹에 휩싸이기까지 했다.

정부와 정치권의 현실 인식이 부자 감세 프레임, 기계적인 균형발전 논리 등에 갇히면서 한국을 떠나는 기업들도 있다. 미국 헬스케어 기업 ‘눔(Noom)’의 공동 창업자인 정세주 이사회 의장은 한국에서 처음 창업을 했지만 2005년 미국 뉴욕을 기반으로 체중 감량 등 건강관리 플랫폼을 출범해 현재 기업가치를 37억 달러(약 5조 원)까지 성장시켰다. 올해 ‘CES 2024’에서 열린 정 의장의 강연에는 미국에서의 사업 성공 스토리를 전수받으려는 국내 기업인들로 가득 찼다.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는 “새 아이디어로 창업을 하더라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규제가 너무 많아 인수합병(M&A)이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연합뉴스

뒤떨어진 조세 경쟁력에 각종 규제만 잔뜩

우리의 법인세 조세 경쟁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34위다. 윤석열 정부 들어 2022년 법인세 최고세율을 25%에서 22%로 인하하는 내용의 세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고작 1%포인트 낮추는 데 그쳤다. 여전히 OECD 회원국 평균보다 2.8%포인트 높다. 최고세율 50%(최대주주 할증 20%)에 달하는 상속세 완화도 절실하다. 쓰리쎄븐·유니더스·농우바이오 등과 같이 상속세 부담으로 회사 문을 닫은 사례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지역균형발전을 명분으로 한 수도권 규제도 변화가 필요하다. 2차전지·바이오·로봇 등 신산업 기업 상당수는 인력 확보에 유리한 수도권 입지를 원한다. 그러나 수도권정비계획법·개발제한구역보전부담금·상수원보호구역 등 각종 산업 입지 규제가 걸림돌이다.

박양수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 원장은 “클린테크나 인공지능(AI) 접목 등 신산업에 대한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이충희 기자 midsun@sedaily.com황정원 기자 garde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