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민, 子 특수교사 유죄에 "마음 무거워" 심경..교사 측 "즉각 항소" [Oh!쎈 이슈]

김나연 2024. 2. 1. 15: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SEN=백승철 기자] 8일 오후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SNS 드라마 '무한동력' 미디어데이에서 '무한동력' 웹툰 주호민 작가가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무한동력'은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 장선재(임슬옹)가 유한동력원 없이 무한대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계를 연구하는 아저씨의 집에서 하숙을 하면서 겪는 사건과 감동을 그린 드라마다.삼성이 기획하고 SBS 드라마 '사인'을 만든 아폴로픽쳐스가 제작하는 '무한동력'은 KBS 2TV 드라마 '인순이는 예쁘다' 박찬율 감독, '탐나는도다' 이재윤 작가가 힘을 모았다. 음악감독은 가수 윤민수가 맡았다. 임슬옹, 김슬기, 안내상, 최효종 등이 출연하는 '무한동력'은 한 회당 10분씩 총 6부작으로, 11월 12일부터 매주 화요일, 목요일 삼성그룹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방영된다. / baik@osen.co.kr

[OSEN=김나연 기자] 웹툰 작가 주호민이 자신의 아들을 정서적으로 학대한 혐의를 받는 특수교사 A씨의 판결에 대해 "무거운 마음"이라는 심경을 전했다.

1일 오전 수원지법 형사9단독 곽용헌 판사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아동복지시설 종사자 등의 아동학대 가중처벌) 등의 혐의로 기소된 특수교사 A씨에게 벌금 200만원의 선고를 유예했다. 선고유예는 유죄임은 인정됐지만, 일정기간 형의 선고를 미루고 유예일로부터 2년이 지나면 사실상 없던 일로 해주는 판결이다.

A씨는 2022년 9월 13일 자신이 근무하는 초증학교 맞춤반 교실에서 수업을 하던 중 주호민의 아들에게 "버릇이 매우 고약하다", "싫어 죽겠어" 등의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주호민은 당시 아들의 가방에 숨겨둔 녹음기에 녹음된 내용 등을 기반으로 A씨를 아동학대 혐의로 신고했다. 이에 재판부는 해당 녹취를 증거로 인정, 일부 발언에 대해 정서적 학대의 미필적 고의가 있다고 판단했다.

재판이 끝난 후 주호민은 취재진 앞에 서 판결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자기 자식이 학대당했음을 인정하는 판결이 부모로서는 반갑거나 전혀 기쁘지 않고 무거운 마음"이라며 "이 사건이 장애 부모와 특수교사들 간에 어떤 대립으로 비치지 않길 간절히 바란다. 둘은 끝까지 협력해서 아이들을 키워나가야 하는 존재"라고 전했다. 이어 "일부 짜증 섞인 뉘앙스나 반족적인 훈육에서 강한 표현이 들어가 있다고 인정이 안 된 경우가 있는데, 부모 입장에서는 굉장히 속상한 일이지만 법원의 판단을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또 주호민은 제도적인 미비함에 대한 아쉬움을 전하기도 했다. 그는 "특수교사 선생님의 사정을 보면 혼자서 많은 일을 처리해야 하는 스트레스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수반도 과밀학급이어서 제도적 미비함이 겹쳐 일어난 일이라고 생각된다. 사건 발생시에도 학교나 교육청에서 마땅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학생과 교사를 분리하는 방법은 고소밖에 없다는 답변밖에 듣지 못했다"며 여러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대법원에서 '몰래 한 녹음은 증거 효력이 없다'는 판결을 내린 사례를 언급하며 "얼마전 대법원 판결로 굉장히 우려가 많았는데,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자기 의사를 똑바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녹음 장치 외에 어떤 방법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의사를 전달하기 어려운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지 다 같이 고민해 봤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자신을 둘러싼 그간의 비난 여론에 대해 "오늘 판결을 통해 조금이나마 해명이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A씨 측은 즉각 항소 입장을 밝혔다. 김기윤 경기도교육청 고문변호사는 취재진에게 "몰래 녹음한 부분을 재판부에서 증거 능력을 인정한 것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고문 변호사로서 상당한 유감을 표한다"며 "몰래 녹음을 유죄의 증거로 사용할 경우 교사와 학생 사이에 신뢰관계가 상당히 무너질 수밖에 없다. 다른 교사들과 특수교사들도 교육활동이 위축되지 않을지 하는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서적 학대로 인정된 발언과 무죄를 받은 부분에 대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의아하다"며 "항소심에서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변호인 전현민 변호사 역시 "감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당시 사정 등을 보면 정서적 학대라고 보기에는 어렵지 않냐는 입장"이라며 "피해 아동이 장애아동이라 명확하게 알려줘야 하는 부분도 있고, (피해아동이 연루된) 학폭 사건이 있다 보니 강하게 훈육해야 한다는 생각도 있었다. 이 사건이 학부모와 교사의 대립으로 비춰지는 것이 조금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다행히 선고유예가 나오기는 했지만, 유사 사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어 교사나 교육청 입장에서 항소하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주호민은 이날 밤 9시 라이브 방송을 통해 특수교사 논란과 관련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그는 전날 소셜 계정을 통해 "그간의 일들을 들려드리겠다"며 라이브 방송을 예고했다.

/delight_me@osen.co.kr

[사진] OSEN DB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