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방은 왜 가로등 불빛으로 모일까’ 비밀 풀렸다

황규락 기자 2024. 1. 31. 13: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곤충들이 인공조명 주변에서 나는 이유가 불빛을 향해 돌진하는 게 아니라 감각 혼란으로 불빛에 갇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조선일보DB

공원 가로등에는 언제나 수십 마리의 나방들이 가로등 불빛 주변에 날아다니고 있다. 이렇게 ‘불나방’처럼 인공조명 주변을 날아다니는 곤충의 비밀이 일부 풀렸다. 인공조명으로 인해 감각 혼란이 일어나며 조명의 불빛을 떠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영국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대 연구팀은 곤충이 인공조명에 이끌리는 것이 아니라 감각 혼란으로 인해 조명 주변에서 비정상적인 비행을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곤충이 불빛을 향해 날아와 비행한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지금껏 빛이 오는 방향을 탈출구로 여긴다거나 인공조명에서 나오는 열에 이끌린다는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돼 왔다. 연구 결과는 30일(현지 시각)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이 게재됐다.

연구팀은 곤충의 비행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초고속 적외선 카메라 등으로 곤충의 비행을 촬영했다. 그 결과 곤층들은 인공조명 주변을 비행하면서 갑자기 몸을 비틀고 뒤집어 방향을 바꾸는 등 불규칙한 패턴을 보였다. 마치 인공조명 주변에서 ‘현기증’을 일으킨 듯 혼란스럽게 날아다닌 것이다.

연구팀은 곤충의 이러한 반응이 자연적인 습성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곤충은 비행할 때 자신의 등을 빛이 비춰지는 쪽으로 돌리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태양이나 달빛 아래서 비행할 때는 등이 위를 향해야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지만, 인공조명이 있으면 감각 혼란이 일어나 비행 패턴이 들쭉날쭉 해지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팀이 천막을 설치하고 마치 하늘에서 빛이 내리는 것처럼 조명을 반사하자 곤충이 안정적으로 비행했다. 연구팀은 “곤충들이 인공조명을 향해 날아가는 게 아니라 그 빛에 갇혀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것”이라며 “야행성 곤충들을 위해 빛 공해를 줄이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