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데드맨’ 김희애 “패션으로 캐릭터 구현, 관객에겐 어떨지 궁금”

김기중 2024. 1. 29. 18: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기를 오래 했는데도 언제쯤 마음에 들지 모르겠네요."

배우 김희애가 2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메가박스 열린 영화 '데드맨' 기자시사회에서 자신의 연기에 대해 아쉬움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분장으로 연기한 건 나도 오늘 처음 봤다. 배우로서 행복하지만 김희애로 돌아왔을 때는 부끄러웠다"고 웃음을 자아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우 김희애가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열린 영화 ‘데드맨’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기를 오래 했는데도 언제쯤 마음에 들지 모르겠네요.”

배우 김희애가 2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메가박스 열린 영화 ‘데드맨’ 기자시사회에서 자신의 연기에 대해 아쉬움을 밝혔다. 다음 달 7일 개봉하는 영화는 벼랑 끝에 몰려 자신의 이름까지 팔게 된 이만재가 바지 사장으로 살다 누명을 쓴 뒤 복수에 나서는 이야기다.

암호를 사용한 장부 작성 등 능력이 있던 그는 1000억원 횡령 누명을 쓰고 영문도 모른 채 중국 사설감옥에 끌려간다. 그런 그에게 정치 컨설턴트 심여사가 나타나 위험한 제안을 한다. 타고난 지략으로 정치판을 쥐락펴락하는 심여사를 맡은 김희애는 뛰어난 언변은 물론, 특유의 카리스마를 선보인다.

김희애는 “외국의 유명한 여성 정치인들 보면 패셔너블하고 액세서리로 자기의 목적이나 희망을 표현한다더라. 그래서 컬러렌즈나 브로치 같은 액세서리를 착용해 봤는데 관객들이 어떻게 보셨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분장으로 연기한 건 나도 오늘 처음 봤다. 배우로서 행복하지만 김희애로 돌아왔을 때는 부끄러웠다”고 웃음을 자아냈다.

영화 ‘데드맨’ 스틸컷.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연출을 맡은 하준원 감독은 “처음엔 허공에 인물을 상상하고 썼지만, 김희애 배우께서 감사하게도 역을 받아주셨다. 어렸을 때부터 배우의 연기를 봐왔던 입장에서 이미지를 투영해 심여사를 다시 직조했다”고 밝혔다.

사설감옥에서 데드맨으로 살아가는 주인공 이만재 역은 조진웅 배우가 맡았다. 그는 김희애에 대해 “처음 봤을 때 한 마디로 ‘심멎’(심장이 멎다)이었다. 디테일을 표현하는 에너지가 좋아 감히 들이대지도 못할 정도”라고 밝혔다.

허 감독에 대해서는 “5년 동안 취재해 쓴 이야기였는데, 신인 감독이라 생각 안 했다. 감독으로서 진정성도 있고 에너지도 있으시다. 현장서 화 한 번 안 내고 우리를 잘 풀어주셨다”면서 “시나리오에 매력을 느끼고 내가 해보면 재밌겠다 싶어 뛰어들었다”고 했다.

이번 작품으로 데뷔한 하 감독은 봉준호 감독 대표작 ‘괴물’을 공동으로 쓴 각본가 출신이다. 배우이기도 했던 하명중 감독 아들로도 알려졌다.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열린 영화 ‘데드맨’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감독 및 배우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하준원 감독, 김희애, 이수경, 조진웅. 연합뉴스

이번 영화에 대해 봉 감독에게 피드백을 받았는지 묻자 “봉 감독님이 1차 편집본을 보셨다. 이후 여러 차례 수정 원고를 보여드리고 조언을 많이 받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반적으로 대본을 리뷰 해주실 때 ‘신 바이 신’으로 자세하게 리뷰를 해주시는 편”이라고 덧붙였다.

장편 상업영화 데뷔에 대해 “시나리오를 쓰고 구현해주시는 배우들의 모습을 보면서 감흥이 컸다. 오랫동안 쓴 시나리오의 글자 하나하나가 연기로 구현됐을 때 느낀 희열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고 벅찬 감정을 털어놨다.

다만 영화는 초반의 강렬함보다 뒤로 갈수록 진부한 느낌이 묻어난다는 지적도 나온다. 허 감독은 이에 대해 “애초 뒤통수를 치는 반전영화가 아니다. 자본과 권력을 두고 안타고니스트들(대립적인 인물들)의 갈등을 그린 영화”라고 헸다. 그러면서 “대단한 반전을 기대하기보다 점층적으로 나아가는, 자신의 정체성 즉 ‘이름값’에 대한 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을 잘 봐 달라”고 당부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